“학교컨설팅은 문제를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 구성원이 자발적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파트너다.”
10일 한국교육개발원과 한국교총이 공동 주최한 ‘2012 학교컨설팅 모형․기법․사례 세미나에서 전문가들은 “아직 학교현장에 컨설팅 개념이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컨설팅단을 외부 손님으로 생각하거나 업무 과중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며 “학교와 교사 발전을 위해 컨설팅은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석열 남서울대 교수는 “컨설팅을 나가면 꼭 나오는 얘기가 교장은 ‘교사들이 따라주지 않는다’, 교사들은 ‘교장이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라며 “컨설팅은 누가 먼저 할 것 없이 함께 해야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이 교수는 “컨설팅 후에도 결과를 방치하지 말고 자체 TF팀을 구성해 학년‧부서‧교과별로 해결방안을 적용, 지속적으로 반영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나선 송민영 경기 영화초 교장은 “그동안은 학교에 문제가 생기면 가장먼저 이웃 학교 교장에게 전화해 물어보고 해결했다”며 “컨설팅을 지구별 협의회처럼 자연스럽게 구성해 학교 간 정보를 공유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도 좋겠다”라고 제안했다. 송 교장은 또 “교사들이 컨설팅 때문에 작성할 자료와 보고서가 많으면 번거롭게 느끼고 기피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불필요한 절차는 줄이고 내실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사례발표를 맡은 서강식 공주교대 교수는 “학교 내부 및 주변지역까지 점검해 특색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지역시설을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며 “계획, 운영, 사후 피드백까지 컨설팅 결과가 일회성이 아닌 학교 전통에 뿌리 내릴 수 있도록 도우려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곽병선 한국교육개발원 객원연구위원도 “학교컨설팅은 의뢰인 스스로가 원할 때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모델인데 아직 우리나라 학교는 자율적이고 독립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제대로 작동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획일적인 교사 채용과 권위주의적인 내부 분위기 등을 바꿔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