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성교육’이 핵심, 현장중심 종단연구
예비·현직교원 역량강화…교총과 협력

“학교폭력 심층 실태분석 및 종단연구, 학교폭력 피해학생의 보호 및 가해학생에 대한 조치 등 단위학교가 학교폭력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현장 수요를 고려한 맞춤형 연구 및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6일 이화여대 ECC센터에서 열린 이화여대 사범대학 ‘학교폭력예방 정책중점연구소’ 개소식에서 만난 한유경 소장(사진·교육학과 교수)은 “가장 먼저 인성교육에 대한 개념을 제대로 정의하고 싶다”는 뜻을 피력했다.
연구소는 보다 실질적인 접근을 위해 연구 운영 방식도 전수조사보다는 종단연구 방식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한 소장은 “현장 점검을 다니면서 교과부 정책이 효과가 있었는지 확인해보고 사례를 통해 가해자와 피해자, 방관자의 근본적인 발생 원인을 찾고 치유 방법을 고민할 것”이라며 “학생들은 ‘인성’하면 ‘충효교육’을 떠올릴지도 모르겠지만 제대로 된 인성교육이란 민주시민교육이나 배려, 자기표현 등 삶에 있어 필수적인 ‘핵심역량’을 길러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 양성에 대한 포부도 밝혔다. 한 소장은 “교육학과 학부과정과 대학원 등에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교과목을 신설하고 한국교총과 협력해 교원 대상 세미나도 개최할 것”이라며 “연구와 교육을 연결시켜 인성교육을 잘하는 초․중등 예비교사 양성에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19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연구를 하며 정확한 문제의 진단 및 예방을 위해 다문학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는 한 소장은 “법학, 정신의학, 심리학, 상담학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과의 학제적 교류를 지휘하고 자문위원단도 구성하겠다”고 말했다.
교과부는 지난 4월 공모를 거쳐 주요 학교폭력근절 정책과제를 학술적으로 연구하는 대학부설 중점연구소로 이화여대 사범대학을 최종 선정했다. 2021년까지 9년간 매년 3억 원 안팎의 연구비를 지원, 실적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