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08 (수)

  • 구름조금동두천 -1.2℃
  • 맑음강릉 1.6℃
  • 구름많음서울 0.0℃
  • 맑음대전 1.2℃
  • 흐림대구 2.7℃
  • 구름조금울산 3.6℃
  • 광주 1.0℃
  • 구름많음부산 4.1℃
  • 구름조금고창 0.0℃
  • 제주 7.2℃
  • 구름많음강화 -0.7℃
  • 구름많음보은 -0.5℃
  • 흐림금산 -0.2℃
  • 구름많음강진군 3.5℃
  • 구름많음경주시 3.3℃
  • 구름조금거제 3.5℃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양

⑫ 대답은 마침, 질문은 시작이다

전문화되는 교육과정과 인간의 조건에 관한 큰 질문을 하는 능력 사이에는 커다란 간격이 존재한다. 지금의 교육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인간의 조건인 ‘사랑, 지성, 지혜, 미덕, 책임감, 가치, 양식’에 관한 질문을 제기하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

오로지 1등만 키워내는 교육, 경쟁에서 이겨야만 생존이 보장되는 교육 속에서 학생들의 재능과 적성, 재미와 행복은 찾아볼 수 없다. 부모들은 자신이 걸어온 고생길을 자식들에게 그대로 물려줄 수 없다는 생각에 자신의 생각을 아이들에게 암묵적으로 강요하고 있다. ‘부모와 학부모의 차이’라는 공익광고의 내용은 우리교육 현실에 대한 뼈아픈 교훈을 전해주고 있다.

“부모는 멀리 보라하고, 학부모는 앞만 보라합니다. 부모는 함께 가라하고, 학부모는 앞서 가라합니다. 부모는 꿈을 꾸라하고, 학부모는 꿈꿀 시간을 주지 않습니다. 당신은 부모입니까, 학부모입니까? 부모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길, 참된 교육의 시작입니다.”

어른들은 자신이 걸어온 인생경험으로부터 깨달은 삶의 진리를 아이들에게도 그대로 강권하려는 성향이 있다. 아이들이 걸어갈 앞으로의 인생과 부모들이 걸어 온 인생은 결코 비슷하거나 동일하지 않다. 아이들은 어른들이 체험적으로 깨달은 삶의 지혜를 전수받을 필요는 있지만 어른들이 걸어갔던 길을 그대로 답습하는 것은 옳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지도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른들은 아이들이 걸어가는 길, 특히 길 밖의 길을 가려는 아이들의 삶을 지나치게 간섭하고 보호하려고 한다.

간섭과 보호가 지나칠수록 아이들의 삶은 행복하지 않다는 점을 하루빨리 깨달을 필요가 있다. 모든 아이들이 다 비슷한 과목을 공부하고, 그런 공부를 통해 미래의 행복을 보장받을 수는 없다. 공부하는 삶을 선택해 평생 연구자나 학자의 길을 가야될 사람도 있지만, 공부 이외에 자신이 좋아하는 직업을 선택해 즐겁고 신나게 살면서 동시에 삶의 보람과 가치를 찾을 수 있는 길도 얼마든지 있다.

왜 모두가 동일한 출발선상에서 똑같은 목적지를 향해 필사적으로 질주하는 경쟁을 해야 되는 것일까? 아예 경쟁의 무대를 바꿔 다른 길에서 자신의 길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오늘날 우리 교육이 풀어야 될 가장 큰 숙제가 아닐 수 없다.

“저는 중고교시절 칠판만 쳐다보면 졸렸습니다. 그래서 할 수 없이 창밖을 바라보며 온갖 생각에 잠겼죠. 그러면서 상상하는 연습을 많이 한 것이 소설을 쓰는데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소설가 박민규의 말이다. 우리 모두는 자신의 재능과 적성을 갖고 있다. 내 안에 잠자고 있는 재능과 개성을 흔들어 깨워주는 부모와 교사가 진정한 교육자다.

‘학교를 잊은 사회, 사회를 잃은 교육’의 저자 데이비드 오어는 ‘점점 전문화되는 교육과정과 인간의 조건에 관한 큰 질문을 하는 능력’ 사이에 커다란 간격이 존재한다고 보고, 지금의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조건인 ‘사랑, 지성, 지혜, 미덕, 책임감, 가치, 양식’에 관한 질문을 제기하는 일로부터 시작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런데 오늘 학교교육은 학생들에게 자신이 누구인가를 알기 전에 남보다 빨리 그리고 많이 돈을 어떻게 벌어야 할지를 걱정하게 만들며 끝이 없는 경쟁의 도가니로 몰아넣고 있다. 교육은 출세를 위해 학벌을 따고 학력을 키우는 과정이지 존경과 신뢰를 배우고 감사하는 과정이 아니라는 것이다. 학생이 질문하기 전에 학교가 답을 미리 던져준다. 질문을 통해 찾아야 되는 답보다 사회적으로 합의된 답을 교과서에 담아 가르친다. 주어진 내용에 비판적으로 의문을 던져보거나 질문을 통해 주어진 내용 이외 대안을 모색할 시간은 많지 않다. ‘문제풀이’식 교육을 통해 답을 가장 빨리 찾아내는 공부 선수들만 양산하고 있는 셈이다.

일찍이 우리 선조들은 의문을 품고 당연한 세계에 질문을 던지는 교육을 강조해왔다. 의문당(疑問堂)이라는 간판이 있다. 추사 김정희 선생이 제주도 유배시절, 대정 향교의 유학생들 공부방인 동재에 써준 현판이다. 스승의 말을 무조건 따르지 말고 항상 의문을 품고 학문에 정진하라는 말이다.

그런데 우리 교육은 질문보다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데 주력하고 있다. 왜 배워야 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지 않은 채 이미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주어진 내용을 가급적 빠른 시간 안에 습득하는 방법적 절차나 기교가 가장 중요하다. 대답은 마침이지만, 질문은 시작이다. 지시하고 가르치면 머리가 굳지만, 질문하고 함께 생각해보면 뇌가 비로소 머리를 쓰기 시작한다. -끝-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