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람들이 중국을 여행하면서 빠지지 않고 가는 곳이 있다. 바로 베이징(北京)과 상하이(上海)이다. 이 두 도시는 중국의 대표적 도시로서 정치, 경제의 중심지다. 겉으로 화려해 보이는 이 두 도시는 과거부터 우애가 좋지 않고, 질시하고, 경쟁하는 관계에 있다. 오죽하면 베이징과 상하이의 관계에 대해 루쉰(魯迅)을 비롯한 중국의 많은 문학가들이 쟁론을 벌이기도 했을까.
현대에 들어서도 이런 두 지역 사이의 경쟁의식은 쉽사리 사라지지 않고 있다. 얼마 전 상하이의 일부 관료들이 선진적 정책을 학습하기 위해 베이징을 찾았다. 이는 근래에 보기 힘든 일로 인구에 회자되고 있다. 왜냐하면 경쟁의식을 갖고, 상대방을 폄하하던 자존심 강한 상하이 관료들이 베이징을 학습하고자 찾아온 것이다. 놀라운 변화가 아닐 수 없다.
그럼 과연 베이징과 상하이는 어떤 연유에서 이런 경쟁관계 내지는 질시하는 관계가 되었을까. 이는 역사·문화적 차이로부터 시작된다. 당연히 양 도시의 문화적 코드를 읽어내는 것이 중국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지름길이다.
베이징은 중국의 원, 명, 청 3대 왕조의 수도였다. 그러다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탄생하면서 다시 중국의 수도가 됐다. 베이징은 중국이라는 거대한 국가의 수도를 오랫동안 유지해온 지역적 특성이 있는 것이다. 당연히 거기에 거주하는 주민들도 한 나라의 수도에서 산다는 자부심이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베이징에는 다른 지역에는 없는 독특한 왕도의식이 있다. 당연히 경제적인 관념보다 정치적인 관념이 더 높다. 특히 베이징은 현대사의 격변기마다 소용돌이의 중심에 서 있었다. 천안문 사태, 5.4운동 등 중국의 격변기마다 베이징은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한편 문화적으로 보면 베이징은 황하로 대표되는 대륙 지향적 북방 문화의 특징을 갖고 있다. 북방지역의 특성상 호탕하며, 민족적 자부심이 강하다. 반면 관료적, 보수적 특성도 갖고 있다.
베이징이 정치의 중심지라면, 상하이는 경제의 중심지이다. 상하이는 장강유역에서 기원하여 해양지향의 남방문화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상하이는 근대시기 영국, 프랑스 등의 조계지였다. 과거 중국정부는 일정 지역에 외국인이 거주하는 곳을 정하고, 이를 치외법권지대로 만들었는데 이를 조계라고 한다. 1845년 처음 조계지가 세워져 중국이 공산화된 1949년까지 존속했다. 이런 조계의 존재로 인해 상하이는 서양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런 영향 때문인지 상하이인들은 개방적이고, 합리적인 경향이 강하다. 상공업을 중시하고, 실속을 챙기는데 일가견이 있다. 또 개인주의적 가치관이 강하다. 상하이인들은 특히 자부심이 강하다, 대표적인 사례가 상하이 방언을 즐겨 쓰는 현상이다. 상하이인들은 다른 지역사람들과 모일 때 상하이 사람과는 상하이 방언으로 대화하는 습성이 있다. 이런 행동은 상하이 사람들이 자신들을 다른 지역사람과 구분하면서 자신들을 드러내려는 문화적 자세와 관계된다.
이렇게 베이징과 상하이의 경쟁은 중국의 정치와 경제를 대표하는 도시라는 자부심에서 시작된다. 따라서 이 두 도시의 속성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사업의 성공이나 업무추진에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한 예로 베이징과 상하이는 공중질서에 대한 제재도 틀리다. 공공장소에서 흡연했을 경우 상하이에서는 흡연자의 영상을 찍어 고발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징에서는 개인 사생활 보호를 이유로 그런 일을 할 수 없다.
중국의 지역 간 차이는 베이징과 상하이만의 문제는 아니다. 나라가 넓다보니 지역에 따른 차이가 매우 크다. 따라서 중국과 교류할 때는 중국의 지역문화가 가진 복잡한 지방색 파악이 중요하다. 또 지역에 따른 사람들의 특성파악도 중요하다. 그래야만 중국과의 교류에서 성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