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연말 학부모 모니터 요원들과의 대화 모임이 있었다. 사실 대학교수로 한 평생을 보내고 고교 교장에 취임한 나로서는 학부모 모니터 결과가 궁금했다. 그런데 정작 결과보고가 시작되자마자, 기대와는 너무나 다른 상황이 펼쳐졌다. 아마도 첫마디에 ‘교장선생님’이란 호칭은 내심 “당신은”이란 표현을 차마 할 수 없어 붙여준 호칭이란 생각도 들었다. 학부모를 격분시킨 내용은 이러했다.
입시에 쫒기는 인문계고 학생들에게 ‘쉼’을 마련해 주기 위해 중간고사를 수요일에 끝내고 목, 금 이틀간을 창체 시간으로 정해 연휴를 만들어 주도록 한 것. 그것이었다. 학생과 교사의 피로가 정점에 이르는 중간고사 직후의 4일 연휴는 잠을 보충할 수 있고, 부족한 교과목 보충을 하거나 자신이 원하는 대학을 방문 또는 여행으로 자기성찰을 하자는 취지였건만 학부모들의 불안감만 촉발한 모양이었다. 인성교육 강화를 내 걸었던 어느 고교 교장이 ‘고교에서 뭔 놈의 인성교육 강화냐’는 학부모들의 거센 반발로 좌절했다는 이야기를 실감하는 순간이었다.
학부모의 요구는 거기서 끝나질 않았다. 밤 10시, 심화반 학생들의 경우 11시까지 이어지는 자율학습시간을 자정까지 연장해 달라는 것이었다. 어차피 집에 오면 대충 씻고 잠을 자게 되니 자정까지 붙잡아 두면 좋지 않겠느냐는 논리였다. 그때 나의 목구멍을 타고 치솟아 오르던 이야기는 이랬다. “학부모님, 만약 당신의 남편이 이 학교의 교사였다면 그와 같은 요구를 할 수 있겠는지요? 교사도 가족들과 함께 저녁식사를 하고 싶고, 내일 수업을 위해 휴식과 잠자리에 들어야 합니다. 62세까지 교단을 지켜야 하는 교직의 특성상 교사들이 매일같이 100m 경주를 하듯 달릴 수는 없는 것입니다.”
그러나 답할 기회조차 박탈한 채 요구는 이어졌다. “교장선생님, 인근학교에서는 이렇게 학생들을 지도하고, 외고와 국제고는 또 이런 활동들을 하는데 우리학교는 도대체 뭘 하고 있는 겁니까? 그리고 또 교장 선생님….“
학교시설 이야기를 꺼낼 즈음 교감선생님을 불러 학부모들의 이야길 듣도록 부탁하고 조용히 자리를 빠져나왔다. 교장이 무능한 건가 학부모의 요구가 과한 것인가. 학생들의 표현대로 난 아직도 맨붕 상태다. 오성삼 인천 송도고 교장
부모님의 자녀지만 나에겐 제자 하루는 수업 중 교실 문이 벌컥 열리더니 학부모가 찾아왔다. 자신의 아들이 왕따를 당했는데 그게 다 담임교사인 내가 아이들에게 핀잔을 주고 지도하는 모습을 보고 다른 아이들이 따라하기 때문이라며 모든 책임을 나에게 돌렸다.
평소 아이들이 바른 자세로 공부하고 또박또박 글씨를 쓸 수 있게 지도하는 과정에서 해당 아이와 다른 아이들에게도 몇 차례 지적했는데 그것을 문제 삼은 것이다. 그러나 기본적인 공부습관을 잡아 주지 못한다면 정규수업으로 이어가기 힘들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는데 오해하신 것이다. 학부모는 온갖 질타를 쏟아냈지만 진정하기를 기다리며 그 비난을 다 들었다. 하지만 나는 말하고 싶다. “부모님의 자녀이기도 하지만 내 사랑하는 제자이기도 하다”고……김문희 경기 의정부 호동초 교사
어려도 교사인데…권위 인정해야 학부모들이 어린 여교사를 은근히 무시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아 속상할 때가 있다. 초임 때는 학부모들이 전화통화하면서 대화 하는 중 은근슬쩍 반말을 하기 시작해 태도가 바뀌는 것을 느낀 적이 있다. 가끔 학교에 찾아와서는 ‘자신의 생각으로는 이런 것을 해야 하는데 왜 안하느냐’며 오히려 가르치려 할 때도 있었다.
교사가 되려면 교대 4년 동안 가르치는 일을 전문적으로 배우고 임용시험을 통과해야 되는 것이고, 또 교사가 되면 매일같이 전문성과 윤리를 키우기 위해 노력하는데 무시하듯 대하면 서로 불편한 관계가 될 수 밖에 없다. 학교와 교사에게 책임만 요구할 것이 아니라 믿고 맡기는 마음도 함께 가져야 할 것이다. 서울 강남구 S초 김혜미(가명)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