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3 학생이 중3 수학 공부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당연한 일이 당연하지 않게 인식되고 있다.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내용을 새롭게 배우는 아이들을 마치 열등하다는 듯이 바라보는 기이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언론에서 보도된 바와 같이 일부 지역의 선행학습은 도를 지나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학원가에서는 너도나도 선행을 앞세워 정상적인 교육을 받고 있는 아이들을 이상하게 만들고 부모들의 불안한 심리를 자극한다. “중3이면 고등학교 수학Ⅰ은 끝내야 한다”든지 “누구는 미적분과 통계를 한다더라”는 등 경쟁을 자극하는 말들이 난무하고 있다. 선행학습은 이전에도 물론 있었다. 하지만 현재는 심각할 정도로 선행학습이 만연하고 있고 연령대가 점점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교과도 수학 교과에서 주로 이뤄지던 것이 거의 모든 교과로 퍼지고 있어 우려를 더하고 있다. 학원들은 선행학습과 상급학교 입시를 연결해 앞 다투어 자극함으로써 선행학습을 선택이 아닌 필수로 인식하게끔 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학습은 경쟁의 비교우위를 점하는 수단으로 작용해서는 곤란하다. 이런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는 데에는 불안감을 조장하는 사교육의 홍보와 운영 방식이 표면적인 이유일 수 있겠지만 우리 교육 현실에 대한 자성도 필요하다고 본다.
특목고의 경우 수학과 영어의 선행이 필수인 것처럼 알려져 있다. 정상적인 교육 과정이 적용됨에도 불구하고 선발 집단의 학업성취도가 높다보니 상대적으로 느끼게 되는 열세에서 비롯되는 불안 때문에 선행학습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런 불안은 대학의 입시 방식과도 무관하지 않다. 교육과정을 넘어선 범위에서 출제되는 문항과 학교별 내신 성적이 입시의 중요 척도로 활용되는 상황에서 선행학습의 부재는 불안감으로 작용한다.
선행학습은 학업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해 아이들을 병들게 하고, 가계의 걱정과 재정적 부담도 가중시킨다. 합리적으로 만들어진 교육과정은 무시당하며 학교 교육은 아이들의 개인적 편차로 무력감에 빠지게 된다. 대학은 정상적인 교육과정을 거친 아이들을 선발하지 못하고 또 다른 도구를 만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된다. 이는 다시 학교 현장으로 부메랑이 되어 돌아오게 되고 선행의 또 다른 선행을 만들게 된다. 결국 아무도 행복하지 않고, 만족하지 못하는 불행한 결과를 가져오고 만다.
심각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아이들을 행복하게 하고, 가정의 부담을 줄이고 교사의 자부심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어느 하나를 해결한다고 모든 것이 한 번에 해결되기는 어렵겠지만 문제의 본질적인 원인을 찾아가는 데서부터 해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선행학습에 열을 올리는 것은 상급 학교에 진학해서도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함이다. 그렇다면 대학과 고등학교의 선발 방식과 교육과정 운영을 정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 선행학습을 통해 얻게 되는 성적을 입시의 주요 수단으로 삼는 데서 벗어나 아이들의 본질적인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인성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 선행(先行)을 선행(善行)으로 바꿔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아이가 갖고 있는 잠재적 역량과 함께 사회의 동량이 될 수 있는 인성적 측면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방향으로의 변화는 현재 추진 중에 있는 성취 평가제와 연결해 생각해볼 수 있다. 상대평가에 의한 줄세우기를 벗어나 아이들의 학업적 역량을 판단해야 한다. 교육과정을 성실하게 이수했는지, 그 과정에서 창의적인 역량을 얼마나 발휘하는지에 대한 평가가 중심이 돼야 한다.
또 상급학교에 진학하기 전 건전한 인성을 함양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연구와 제도적 장치도 마련돼야 할 것이다. 선행(善行) 학습은 어린 나이에 할 때 더 효과적일 것이다. 더불어 살아가고, 나눔을 실천할 수 있는 아이가 대우받고, 높이 평가받을 수 있는 풍토가 하루빨리 정착돼야 한다. 지식의 숙달을 최고의 미덕으로 평가하고 입시의 중핵으로 삼는 한 남들보다 먼저 달려가려는 선행학습은 어떤 제도를 쓴다한들 막기 어려울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한국교총을 주축으로 출범한 인실련의 활동은 선행학습의 풍토를 개선할 수 있는 중요한 열쇠가 될 수 있다.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쏟아지지는 다양한 정책들은 학생, 학부모, 교사 입장에서 기대와 우려를 함께 갖게 한다. 비정상을 정상으로 잡을 수 있는 살아있고 의미 있는 정책이 되기를 간절히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