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장교육연구가 점수 획득을 위한 것이 아니라 교사의 전문성 향상으로 이어지고 결과를 실제 수업에 적용해보려는 긍정적 사고와 개선 의지가 접목될 때 진정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발표대회에서는 박은희 부산 명진중 수석교사가 ‘현장교육연구로 알게 되는 수업UP! 노하우’에 대해 특강했다. 박 교사는 그동안 현장교육연구를 수행하고 결과를 현장에 적용했던 자신의 경험을 참석 교원들과 공유하면서 노하우를 아낌없이 전수했다.
박 교사는 “연구과정과 수업은 연결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를 제대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학생들과 충분한 공감대를 형성해 놓아야 한다”며 “자신만의 ‘브랜드’가 있는 수업을 만들라”고 당부했다. 박 교사가 제시한 수업 전략은 ▲학생들에게 나의 수업이 재미있다는 인식 심어주기 ▲학생 이름 외우기 일환으로 3월 한 달 동안 자기 이름을 창의적으로 홍보한 학생들에게 선물하기 ▲동아리 ‘밴드’, 과학도우미 ‘카톡방’ 등 방과 후 시간에도 SNS 교류하기 등이다.
최근 활동하고 있는 STEAM 교육 연구회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2011년 처음으로 수석교사들끼리 모여 융합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나 의욕에 비해 좋은 결과를 내놓지 못했다”고 털어놨다. 서로 학교 및 환경이 달라 연구의 연속성, 긴밀성을 유지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박 교사는 “연구를 효과적으로 적용하려면 동료 교사와 함께 연구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밝혔다.
특강에 들은 김지선 광주 월곡초 교사는 “자기만의 재미있는 수업을 만드는 방법 및 실제 수업에 활용했던 다양한 자료들을 제시해준 것이 많은 도움이 됐다”며 “오늘 터득한 내용을 실제 수업에서 적용해 볼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