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총․ 전교조‧무적 등 평균값만 비교 신뢰도 분석 결과 수치 차이 무의미 전교조교사 만족도 일반 < 혁신학교
‘올해 초 경기도교육연구원이 낸 혁신학교성과분석보고서에서 교총 교사들의 내부 만족도가 가장 높았던 점도 혁신학교=전교조 이미지로 보려는 보수진영의 인식과 배치된다.…혁신학교의 교총 교사들의 교사(756명)는 5개 영역 모두에 전교조 교사(350명)보다 높은 점수를 줬다. 교총 교사들은 교사 집단 효능감과 수업혁신 항목에서 긍정적인 인식이 컸다.’ 최근 일간지에 나온 혁신학교 관련 기사에서 교총이 언급된 부분이다. 마치 한국교총 소속 교사들이 혁신학교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며 만족도가 높은 것처럼 묘사되고 있지만 관련 통계자료를 면밀히 분석하면 잘못된 부분을 찾을 수 있다.
혁신학교 소속 교사 내부 만족도조사 보도는 1월 21일 경기도교육청이 낸 보도자료를 근거로 하고 있다. 보도자료는 경기도교육연구원이 낸 ‘혁신학교성과분석보고서’ 중 교원단체별로 ▲수업혁신 ▲생활지도 효능감 ▲교육과정혁신 평균 ▲학교공동체감 평균 ▲교사집단효능감 평균 등을 분석한 부분을 인용해 5점 만점의 평균을 비교 한 뒤 ‘교총 소속 교사가 전교조 및 소속 없는 교사보다 높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세 집단을 비교할 때 평균값만을 사용하는 것은 일종의 통계적 오류다. 통계전문가들은 분산분석을 F값과 유의확률 등을 함께 비교해야 정확한 의미적 차이를 분석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경기도교육연구원은 본지 취재과정에서 분산분석 결과를 요구하자 뒤늦게 통계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며 자료를 보내왔다. 하지만 수치의 차이가 유의미한지를 알아보는 분산분석 결과 유의수준으로 제시한 0.05보다 모두 작아 의미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지만 세 집단 내 집단별 차이를 알아보는 사후분석결과 생활지도 효능감과 교육과정 혁신평균의 경우 0.277과 0.122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라고 할 수 없는 결과가 나왔다.
결국 경기도교육연구원은 온전히 신뢰할 수 없는 수치의 차이를 가지고 보도자료를 낸 것이고 이를 근거로 일부 언론이 혁신학교 소속 교총 교사가 전교조 교사 보다 만족도가 높다고 보도한 것이다. 자료를 분석한 김주영 한국교육정책연구소 연구원은 “생활지도영역과 교육과정혁신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 의미가 없는 상태에서 평균값이 높다고 전 영역에서 교총 교사들이 높은 만족도롤 보였다는 것은 무리”라고 말했다.
설령 이 자료가 의미가 있다고 하더라도 해석의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혁신학교와 일반학교를 비교했을 때 교총 교사들은 일반학교에서도 전교조 교사보다 5가지 항목에서 모두 만족도가 높았다. 결국 교총 교사들은 혁신학교든, 일반학교든 전교조 교사보다 조사 항목에서 만족하며 교직생활을 하고 있는 것인데 이를 호도한 것이다. 오히려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비교에서는 일반학교보다 혁신학교 소속 전교조 교사의 만족도 증가가 교총 교사의 그것보다 크다는 점을 주목해 보면, 혁신학교가 전교조 소속 교사에게 유리하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한편 외부업체에 의뢰해 온라인 방식으로 조사한 이번 설문은 조작 가능성도 일부 확인됐다. 경기 북부 관내 한 혁신 중학교 소속 교사는 “혁신학교 만족도가 높게 나와야 한다며 교장이 설문에서 긍정적인 답변을 할 것을 은근히 강요했다”고 말했으며, 한 초등 교장은 교육장으로부터 설문조사를 잘(?) 해줄 것을 당부하는 전화를 받았다고 밝혀 조사과정에서도 일부 문제가 있었음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