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총이 강력하게 주장해 온 대로 한국사를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독립,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 교육부는 12일 당정협의에서 최종 의견을 조율한 다음 곧바로 역사교육강화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한국사 수능필수 지정은 분위기에서 감지됐다. 주제 발표를 맡은 최상훈 서원대 역사교육과 교수와 토론자 6명 중 5명이 한국사의 수능 필수과목 지정을 주장하거나 이를 전제로 보완 방안을 제시했다. 이날 발제를 맡은 최상훈 서원대 역사교육과 교수는 당초 “한국사를 수능 필수화하되 대입 전형에 반영하는 방안이 가장 현실적”이라면서도 “수시합격자를 대상으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활용하는 방안도 병행할 수 있다”고 제안했으나 “처음부터 수시만을 염두에 두고 입시 준비를 하는 학생은 없다”는 김무성 교총 대변인의 지적에 ‘수능 필수’로 충분하다고 의견을 수정하기도 했다.
김 대변인은 또 “역사교육은 인문학적 소양을 키우는 교육”이라며 “한국사 수능 필수화를 주장하는 것은 단순히 역사만의 문제가 아니라 공교육 회복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사뿐 아니라 각 교과의 특성과 학습효과상 문제가 있다면, 집중이수제를 개선해 교육과정을 정상화하고, 수능도 국가기초학력평가로 실시해 대입제도의 근본적 개혁을 통한 학교교육 정상화로 이어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손승철 강원대 사학과 교수는 "수능 반영 필수는 적절하며 중고교는 물론 대학에서도 한국사가 필수 교양과목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고, 민병관 청량고 교장은 “한국사를 수능 탐구영역에서 분리하고, 인문계열 뿐 아니라 자연계열이나 예체능계열 지망생도 모두 응시하게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국회에서도 여야 국회의원들이 각각 7개의 한국사 수능 필수 입법안을 발의한 데 이어 지난달 30일 동북아역사왜곡대책특별위원회(위원장 남경필) 주최로 공청회가 개최됐다. 이 날 공청회에서도 박형준 한국사회과교육학회 교육과정위원장(성신여대 교수)가 반대의견을 표명하고, 교육부 박춘란 대학정책관과 유성엽 민주당 의원이 신중론을 펼친 것을 제외하고는 다수 여야 의원들과 전문가들의 의견이 ‘수능 필수화’에 치중됐다.
이때까지만 해도 입장이 불분명했던 교육부가 수능 필수화쪽으로 입장을 정리한 데는 교총의 역할이 컸다. 그동안 ‘한국사 수능 필수화’ 방안에 침묵을 지키던 역사학계를 설득해 입장을 표명하도록 한 것이다. 6일 한국현대사학회(회장 이명희 공주대 교수)가 성명을 통해 “수능 필수화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히는 한편 “대한민국의 정통성과 성공의 역사를 부정하는 한국사 교과서 문제점을 개선하는 과제도 해결해야 역사문맹 현상을 넘어설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박흥갑 국사편찬위원회 편사부장도 8일 열렸던 토론회에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출제범위나 시행목적이 다르고 응시인원이 갑자기 늘 경우 인력과 예산 문제도 생긴다”고 밝혀 사실상 수능 필수화 방안에 찬성 의견을 피력했다.
또 자유교원조합, 한국교원노동조합, 대한민국교원조합 등 3개 교원노조가 7일 “한국사의 수능 필수과목 채택과 한국사 수업 내실화를 위해 교총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힌 데 이어 한국폴리텍대학도 8일 내년부터 선택 교양과목이던 한국사를 졸업 필수과목으로 편성, 역사교육을 강화 방침을 내놓았다.
한편 교총은 지난 6월 안양옥 회장이 취임기자회견에서 한국사 수능 필수를 주장한 이래 청와대, 국회, 교육부 등은 물론 각종 방송 등에서 수능 필수화가 가장 현실적 역사교육방안이라는 점을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