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은 감기의 계절이다. 감기의 예방법과 퇴치법은 일반적인 전염병 예방과 퇴치의 원칙에 준한다. 여기에는 감염원, 매개체, 숙주의 면역력의 3가지 요소가 관여한다. 병을 일으키는 감염원이 없으면 병은 일어나지 않으며, 병을 옮기는 수단인 매개체가 없으면 전파되지 않을 것이다. 또 바이러스나 세균이 들어와도 숙주인 사람의 면역이 강하면 걸리지 않는다. 이 세 가지 중 어느 하나만 막아도 감기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감기 바이러스는 맹랑한 구석이 있다. 이 녀석들도 독감 바이러스처럼 변신의 귀재들이다. 우리 몸은 한번 침공을 극복한 원인균에 대해서는 면역을 획득하지만 변신을 밥 먹듯 하는 감기 바이러스 앞에서는 힘을 못 쓴다. 감기는 환자의 침, 가래, 콧물 등의 매개체를 통해 전염된다. 기침이나 재채기로 공기 중에 퍼진 침방울들이 다른 이의 기도로 들어가 감기를 일으키는 것이다.
공기만이 문제는 아니다. 감기 환자의 손은 늘 코를 풀고 기침을 한 탓에 감기 바이러스로 도배돼 있다. 그 손을 잡고 악수한 후 손을 코나 입으로 가져가면 바이러스는 순식간에 기도로 유입된다. 손만 씻어도 상당부분 감기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 그런 이유에서다.
손은 자주 씻어야 한다. 외출 후 들어올 때마다, 사람과 접촉이 있은 후마다 씻는 것을 권장한다. 씻을 때는 소독제를 포함한 세정제가 좋지만 일반 비누를 사용해도 상관없으며 비누는 젖어 무르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좋다.
잊고 지내는 요인 중 다른 하나는 습도다. 바이러스는 실내 곳곳에 붙어 새 주인을 기다린다. 이때 공기가 건조하면 감기 바이러스의 생존기간이 더 길어져 전염성도 높아진다. 또 습도가 낮으면 코나 기도의 점막 기능이 떨어져 바이러스를 처리하는 능력도 줄어든다. 콘크리트로 지은 아파트는 실내온도가 높아지면 이슬 현상으로 습기가 벽으로 흡수돼 습도가 더 떨어진다. 집은 반소매를 입을 만큼 따뜻한데 감기는 더 잘 걸리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습도를 높이기 위해 예전에는 가습기를 사용했다. 그러나 가습기 속 세균이 호흡기 질환을 일으킨다는 발표와 가습기 첨가제가 치명적 폐렴을 일으킨 사례들이 발생한 후 가습기 사용은 급격히 줄어들었다. 보건복지부는 병원에서의 가습기 사용을 금지시켰지만 건조한 병원 공기와 환자들이 함께 숨 쉬는 공간은 감기 대환영의 멍석을 깔아 놓은 것과 진배없다.
부작용이 두려워 가습기를 안 쓰는 것은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그는 격이다. 화학적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습기를 얼마든지 사용할 수 있다. 가습기 속 세균번식은 10원짜리 구리동전을 물통과 초음파 진동판 옆에 몇 개 두는 것 만으로도 상당부분 억제된다. 물론 청소도 부지런히 해야 한다. 물을 떠놓거나 빨래를 널어 두는 것도 도움은 되지만 가습기에는 족탈불급(足脫不及)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