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기본교육을 도외시한 입시 위주, 암기식 교육이 세월호 참사, 원전 납품비리, 윤 일병 사건 등 한국 사회의 위기를 초래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결국 교육의 역할, 특히 인성교육이 강화돼야 한다는 쓴소리가 제기됐다.
전‧현직 대학 총장으로 구성된 한국대학총장협회는 22일 경기 성남시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한국사회의 위기와 교육의 역할’을 주제로 세미나를 열고 교육을 통한 의식개조, 국가개조에 나서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기조강연에 나선 이현청 한양대 석좌교수는 “인간이 변하지 않으면 사회 어떤 제도도 합리적으로 운영될 수 없고 물질이 아닌 인간의 가치를 우선 할 수 없다”며 “한국사회 위기 해소의 근본대책은 교육에서 찾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어 “가정에서의 윤리교육을 회복하고 학교교육이 인성교육 패러다임으로 전환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 대학입시의 틀과 진학률에 대한 근본적이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교사양성, 재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며 아울러 “대통령 산하에 초정권적 교육비전위원회 등을 상설화 해 인성교육, 공민교육의 장단기 틀을 수립하고 부처 차원의 실천과 범국민적 도덕성회복캠페인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송석구 전 동국대 총장은 “고교와 대학에서 필수였던 국민윤리가 1993년 문민정부 들어오면서 체제옹호라는 비판 속에 선택과목으로 바뀌었다 없어지는 등 인성교육이 사실상 반토막이 났다”고 지적했다. 이어 “인성교육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논하고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며 “고교에서 철학교육을 하는 것도 좋고 대학에서 철학을 필수화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토론에서 손병두 전 서강대 총장은 계층‧이념 갈등, 공동체의식 붕괴, 법치주의 실종이라는 사회 병리 해결을 위해 인성교육을 강조했다. 손 총장은 “초중고교에서의 윤리교육을 강화하고 대학에서 철학교육을 필수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대학은 입학사정관제를 개선해 올바른 인성교육을 받은 학생이 입학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기업은 채용 때 인성 부분의 비중을 높임으로써 고교 교육의 정상화를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동준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인성교육을 강조한 지 20년이 지나도록 아직도 인성교육의 중요성만 말하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이 시기 인성교육을 담당하는 ‘도덕’과 교육을 강조하기 보다는 오히려 폐지하기 위한 시도가 2번이나 있었고, 초등 수업시수는 2시간에서 1시간으로 축소됐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도덕과의 입지가 이렇다면 여타 교과의 인성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을 수 없다”며 “초등 도덕교육이 1시간에서 2시간으로 늘어난다면 훨씬 좋은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제안했다.
안양옥 한국교총 회장은 “5‧31교육개혁 이후 수요자 중심 교육이 강조되면서 교육의 본질적 기능이 경시되고 교원을 개혁 대상으로 삼으면서 인성교육이 약화돼 왔다”며 “이것이 오늘날 한국사회의 위기를 초래하는 단면을 재조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인성교육의 강화는 정부의 정책적 수단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가정과 학교, 사회가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고 범국민적 실천을 확산시킬 때 성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