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기업들의 사회공헌 활동이 금전적 기부를 넘어 인성교육 참여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유한 킴벌리는 청소년들의 성교육 콘텐츠를 제작해 학교에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교사 성추행까지 초래하는 비뚤어진 성의식이 아닌 올바른 성가치관과 양성평등 의식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다.
2013년부터 성교육 의무 시간이 10시간에서 15시간으로 확대됐지만 현재 전국 학교의 보건교사 배치율은 65%에 그친다. 학교에서 모든 것을 감당하기 어려운 여건에서 학생들에게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는 영상 콘텐츠가 제공되자 반응이 뜨겁다.
지난해에는 서울 정신여고, 경기 송탄제일고를 찾아 성교육 뮤지컬 ‘사랑일까’ 공연도 실시했다. 이성교제와 임신, 남·녀 성가치관의 차이 등을 현실감 있게 풀어내 호응을 얻으면서 올해부터 정례화하기로 했다.
유한 킴벌리 관계자는 “네덜란드는 이성간의 정확한 의사표현과 책임감을 강조하는 성교육으로 성경험 평균 연령을 1970년대 12.4세에서 2000년대 17.7세로 늦추는 효과를 봤다”며 “우리 청소년들이 성에 대한 책임감과 바른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해 가정의 소중함을 깨닫게 하고 있다. 지난해 8~11월, 가족 구성원에게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주니어 소프트웨어 창작대회’가 대표적이다. 항상 가깝게 있지만 소홀했던 가족에 대한 마음을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승화시킬 수 있게 했다. 가족마다 샤워할 때 원하는 물의 온도나 세기가 다른 것에 착안해 자동 조절 샤워기를 만들겠다는 학생, 식물 기르기가 취미지만 바쁜 일상에 물주는 것조차 잊곤 하는 가족들을 위해 화분에 센서를 장착한 학생 등 다양한 가족사랑 아이디어가 나왔다.
임직원들은 멘토로 나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합숙 캠프를 마련해 학생들이 대회를 통해 꿈을 키우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코오롱글로벌(주)스포렉스는 스포츠를 통해 존중과 배려, 페어플레이 정신, 자기이해를 기를 수 있는 ‘허밍 스쿨(Humming School)’을 2010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콧노래 부르듯 신나고 활발한 체육활동을 널리 퍼뜨리자’는 뜻의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마라톤, 양궁, 골프 등 다양한 종목의 스포츠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스포렉스는 이외에도 스포츠 토론, 경기관람을 통한 올바른 응원문화 배우기 등 자체 개발한 다양한 교육기부 프로그램으로 청소년들의 인성 함양과 건강한 신체발달을 돕고 있다. 지금까지 만 여명 이상의 학생들이 참여했다.
‘운동장 없는 학교’에서 진행된 ‘건강한 학교 만들기’ 프로젝트도 눈에 띤다. 스포렉스 임동호 주임은 “운동장 없이 체육관만 있는 학교의 경우 다른 학교 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운동량이 부족한 경향이 있다”며 “토요스포츠, 축구수업, 여학생스포츠 등의 대안교육을 통해 건강한 심신을 기르고 체력을 보충하는 프로젝트였다”고 설명했다.
반딧불이(주)는 퇴직교원들로 강사진을 구성해 초‧중‧고생들을 위한 인성교육 특강에 앞장서고 있다. 2011년부터 경남도 내 50여 학교에서 2만여 명의 학생들이 교육을 받았고 지난해부터는 32개교 1800여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토론중심의 인성교육 기부 수업도 진행하고 있다. 2013년부터는 교원 인성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후배 교원들이 한 단계 높은 인성교육을 할 수 있도록 노하우를 공유하기 위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