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서울구일초 4학년 5반 교실. 촌락의 형성과 주민 생활을 알아보는 사회 수업시간. 모둠으로 앉은 학생들이 레고 조립에 열중이다. 모내기 후 새참을 먹으며 휴식을 취하는 사람들, 가축을 기르는 목장의 모습까지 농촌, 어촌, 산지촌 등 촌락의 자연환경과 생활 모습이 그대로 표현됐다.
블록놀이같은 수업의 주인공은 이인지 교사. 그는 레고 활용 스토리텔링 수업을 연구하며 교실 수업에 적극 적용하고 있다. 학생들의 집중도 향상은 물론 남녀학생 할 것 없이 누구나 즐겁게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 교사는 “상상했던 것을 구현해낼 수 있어 생각지도 못했던 창의력과 디테일을 발휘하는 학생들의 모습을 자주 발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어촌사람들의 일상을 표현했다는 전하윤 양은 레고로 배를 조립하고 낚시를 하는 어부, 항구에서 조개를 캐는 해녀의 모습을 만들었다. 조그만 원 블록은 조개라며 갯벌 같은 회색 판에 흩어놓고 바구니에 해녀가 캔 조개를 담아놓은 모습까지 상세히 표현했다. 이태환 군은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에 상상력을 더해 레고로 표현하니까 정말 재밌고 시간가는 줄 모른다”며 “직접 만들었기 때문에 수업 내용이 더 오래 기억된다”고 말했다.
특히 평소 그림 그리는 것을 부담스러워하거나 글씨를 예쁘게 못 쓰는 등 ‘꾸미기’에 자신 없었던 학생들을 끌어들이는데 특효다. 이 교사는 “미술에 자신 없어 했던 남학생들의 집중도가 눈에 띄게 좋아한다”며 “만들기나 조작 활동에 대한 자신감을 키워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울을 만들어보는 과학 수업시간에 한 남학생이 레고를 가져와서 참여하는 것을 보고 관심을 갖게 됐다는 이 교사는 현재 레고 수업에 관심이 있는 10여 명의 교사들과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수업에 활용되는 레고는 한국 레고에듀케이션의 협찬을 받았다. 교사들은 올해 각각 15차시의 레고 스토리텔링 수업 안을 구상해 인디스쿨 등 교사커뮤니티에서 공유하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레고 스토리텔링 수업은 사회과 외에도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수학의 경우 일정한 길이의 브릭을 활용해 넓이나 높이 구하기를 할 수 있고 평면도를 활용해 미래 자신의 집을 설계해보는 활동도 할 수 있다. 국어에서는 문학작품을 읽고 난 후 뒤에 이어질 내용을 상상해 표현하기, 역사의 경우 6‧25와 같은 역사적 사건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수업도 가능하다. 좀 더 심도 있는 활동으로는 창체 시간에 일정 주제를 주고 6컷짜리 만화를 그리게 한 후 이를 레고로 표현해 사진을 찍고 간단한 동영상을 제작해 볼 수도 있다.
주의해야 할 점도 있다. 활동에만 몰입해 자칫 학습목표를 소홀히 해선 안 된다는 것. 이 교사는 “퀴즈 등을 통해 학생들이 수업 내용을 정확히 이해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며 “협동하지 못하고 싸우는 모둠은 과감히 제외시키는 등 기본적 태도를 먼저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세트 당 20만원이 넘는 고가의 레고 세트가 교사들의 접근을 어렵게 만들기도 하지만 크게 걱정할 것 없다는 것이 이 교사의 설명이다. 그는 “학생들이 갖고 있는 레고, 안 쓰는 레고들을 가져오게 하면 꼭 비싼 세트를 구입하지 않아도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교사는 “어떻게 해야 할 지 막막하다면 커뮤니티에서 자료를 다운 받아 간단한 활동부터 시작해 점차 빈도를 높여나가는 것이 좋다”며 “더 많은 교사들이 레고 활용 교육을 적용해 즐겁고 효과적인 수업을 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