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4 (일)

  • 맑음동두천 11.4℃
  • 맑음강릉 13.8℃
  • 맑음서울 12.7℃
  • 맑음대전 12.9℃
  • 구름조금대구 13.5℃
  • 구름많음울산 12.3℃
  • 구름조금광주 14.0℃
  • 구름많음부산 16.8℃
  • 맑음고창 13.5℃
  • 제주 12.1℃
  • 맑음강화 11.1℃
  • 맑음보은 11.8℃
  • 맑음금산 12.8℃
  • 구름많음강진군 14.7℃
  • 구름많음경주시 14.3℃
  • 구름많음거제 14.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환경교육은 실천의 교육… 캠페인에 그쳐선 안 돼

2016 대한민국환경대상 교육부장관상



구교정 인천 부일여중 교사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안 개발
전 교과에 환경교육 접목 시도


알아주는 사람도, 강요하는 사람도 없지만 자신만의 교육 철학으로 ‘한 길’을 걷는 교사들이 있다. 학생들이 ‘시험에 나오지 않는다’며 외면할 때도 포기 대신 설득을 택했다. 2016 대한민국환경대상 교육부장관상을 받은 구교정 인천 부일여중 교사와 정병학 강원 석정여중 교사가 그 주인공. 이들은 캠페인 등 일회성에 그치는 활동은 지양하고 체험·실천 중심 환경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20년 가까이 매진하고 있다.

구 교사는 지난 20년간 교육과정 재구성과 동아리 활동에 공을 들이고 있다. 과학을 쉽고 재미있게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다 환경교육을 떠올렸다.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을 과학 원리와 접목하면 흥미를 끌 수 있다고 생각했다.

가령 지구환경 변화를 가르칠 때는 자동차 배기가스가 산성비가 되는 과정을 설명했다. 엽록체를 공부할 때는 ‘모든 식물이 공기 정화에 도움이 되는가’를 질문하고 실험을 통해 원리를 설명했다. 그는 “과학 과목에만 한정하는 게 아쉬워 동료 교사들과 함께 전 교과를 분석하고 환경과 관련한 요소를 찾아내 수업 지도안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환경 동아리도 운영했다. 우리가 직면한 다양한 환경 문제를 어릴 때부터 인식하고 해결책을 고민해볼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다. 활동 주제는 각종 이슈에서 찾았다. 지난해에는 ‘커피찌꺼기 거름 만들기’를, 2014년에는 ‘천연살충제 거름 만들기’를 주제로 삼았다. 올해는 교내 미세먼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구 교사는 가장 기억에 남는 활동으로 영종도 지역 학교에서 진행했던 ‘천연살충제 거름 만들기’를 꼽았다. 영종도 지역에서는 텃밭을 가꾸는 가구가 많지만 메뚜기, 여치 등 작물을 해치는 곤충 때문에 살충제 없이는 재배가 불가능했다. 구 교사와 환경 동아리 학생들은 교내 빈 공간에 텃밭을 조성하고 배추와 무를 심었다. 그리고 계피, 박하, 식초, 커피찌꺼기 등 천연 재료를 이용해 살충제를 만들었다.

그는 “마늘 끓인 물을 뿌렸더니 농약 없이 싱싱한 작물을 수확하고 김장까지 담글 수 있었다”며 “학부모들도 동참, 학교 행사로까지 확대돼 보람을 느꼈다”고 했다.

열심히 하다 보니 대외적인 성과도 따라왔다. 20년 동안 함께 동아리 활동을 했던 학생 370여 명이 각종 대회에서 상을 받았고, 지난해 수상 횟수만 56회에 이른다.

구 교사의 목표는 체계적인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것이다. 환경 문제는 삶, 목숨과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등한시 할 수 없다는 신념 때문이다. 그는 “환경교육은 ‘때’가 있다”며 “어렸을 때부터 관련 문제에 관심을 갖도록 지도할 생각”이라고 전했다.


정병학 강원 석정여중 교사
광산 폐석지 생태계 복원 연구
15년간 생활 속 환경교육 실천


정 교사는 학생들과 ‘내 고장 환경 문제 프로젝트’를 15년 가까이 진행하고 있다. 주제는 ‘광산폐석지 생태계 복원’이다.

강원도 영월, 정선, 태백 지역에 분포하는 광산폐석지는 이 지역의 대표적인 환경 문제로 꼽힌다. 이곳 토양은 식물이 자라기에 적합하지 않아 생태계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또 납, 카드뮴 등 중금속 함량이 높아서 큰 비가 내리면 다량의 유해물질이 주변 하천과 농경지로 유입돼 오염시킨다.

정 교사는 “1999년 영월 지역 광산 폐석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시청한 후 관심을 갖게 됐다”며 “이후 학생들과 함께 광산 폐석 문제를 연구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환경 동아리를 꾸려 다양한 활동을 시도했다. △광산폐석지 토양 분석 △여름철 집중 호우 시 광산폐석 침식 방지 연구 △균근균(작물의 뿌리 내부에 공생하면서 생장을 돕는 사상균)을 활용한 식생 복원 연구 등 문제를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데 초점을 맞췄다. 정 교사는 “지역 주민들로부터 걸려온 전화가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학생들이 연구한 결과를 접하고서 주민들이 전화를 걸어왔어요. ‘수고했다’는 말과 함께요. 지속적으로 연구해 광산폐석 피해를 막아달라는 부탁도 잊지 않았어요. 학생들의 활동에 지역 주민들이 큰 관심을 갖고 응원해준다는 점에 고마움을 느꼈죠.”

그는 환경교육을 ‘실천의 교육’이라고 했다. 몸으로 부딪히고 경험하면서 그 중요성을 깨닫고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나’보다는 ‘타인’과 ‘사회’, 더 나아가 ‘세계’를 돌아보면서 인성교육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정 교사는 “요즘 환경 교과를 가르치는 학교를 찾아보기 어려워 안타깝다”면서 “환경교육은 인성을 갖춘 인재를 가르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