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장의 교육감 학교 방문 과잉 영접 때 12살이나 나이어린 교장으로부터 심하게 질책을 받던 정년을 1년 앞둔 교감이, 모단체가 가세한 인터넷에 논란이 불거지다가 외부 압박감을 이겨내지 못해 결국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한다. 참으로 슬픈 소식이다.
모니터는 여기서 그 학교 교장, 교감, 모단체 등의 잘잘못을 논하거나 책임 소재를 밝히려는 의도는 없다. 다만, '이런 일이 일어나서는 안 되는데….' 하는 안타까움과 '교장과 교감과의 관계, 좀 더 부드러워질 수는 없을까?'하는 아쉬움을 피력하고 싶다.
또한, 이 세상의 아무리 좋은 일도 사람을 살리는 쪽으로 나가야지 죽이는 쪽으로 몰고 간 것은 잘못된 것이다. '우리가 왜 사는가?' '교육자는 무엇으로 사는가?'하는 근본적인 질문을 하고 싶다.
사건의 발단이 된 것은 화장실의 수건이다. 그 수건이 무어 그리 대단하단 말인가? 교감이 미처 준비 못했으면 행정실에서 하고, 너무 바빠 행정실에서도 미처 손이 가지 못하면 교장실에 있는 것 교장이 직접 갖다 놓을 수도 있지 않은가? 그것 교장이 갖다 놓았다고 교장의 권위가, 체통이 떨어질까? 아니다.
일선에서 교감직을 수행하다 보면 교장의 지시사항이 수 없이 떨어진다. 교장으로부터 받는 지시사항은 화장실 수건에서부터 지각생 단속, 자기주도학습, 화장실 청소, 정리정돈, 수업 장학, 선생님들 근태관리, 점심식사 지도, 조종례 훈화, 교실 청소, 귀가지도, 용의와 복장 등 학생생활지도…. 심지어 교사들의 복장까지도 교감의 지도 소홀로 지적을 받게 된다.
오죽하면 "교감 재직기간, 짧으면 짧을수록 좋다"는 말까지 나왔을까. 동료 교감들의 전언에 의하면 못된 시어머니인 교장 때문에 하루하루의 생활이 그야말로 '죽을 맛'이라며 아예 '등돌리고' 사는 경우도 있다하니 우리의 슬픈 교육 현실이 아닐 수 없다.
G도 A중학교 최모 교감(54)은 자조적인 말로 이렇게 말한다. "교실과 복도 다니면서 쓰레기 줍는 양이 학년초보다는 많이 줄었어요. 20리터 봉투로 두 개밖에 안되는 걸요." 교장으로부터 듣기 싫은 소리 듣지 않으려고 교감이 '청소원'으로 변신하여 쓰레기를 줍는 것이다.
선생님들에게 교감의 '영(令)'이 먹혀 들어가지 않은 것은 벌써 오래 되었다. 교장실 점거와 교육감실 점거는 이제 뉴스거리조차 되지 않을 정도로 우리 사회는 변했다. 이런 상황에서 교감이 하는 말에 누가 귀를 기울일까?
교감을 자존심 상하게 하는 말 중에 하나. "그까짓 교장 하나 못 모셔?" 라는 말. 심하게 얘기하면 교감은 간과 쓸개 빼놓고 교장을 받들어 모시라는 소리로 들린다. 리포터는 여기서 '모신다'라는 말에 반감(?)을 갖고 있으며 이말 자체에는 문제가 발생한 학교의 경우, 1차적으로 교감을 나무라는 교육의 못된 풍토를 지적하고 싶은 마음도 있는 것이다.
그러면, 그런 교장에게 되묻고 싶다. "그까짓 교감 하나랑 어울리지 못하는가?" 라고. 그런 교장은 학교 CEO로서 리더십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교장과 교감은 서로 상대탓을 하며 앙숙관계에 있을 것이 아니라 학교 관리자로서 서로 도움을 주고 받으며 학교가 원활히 돌아가게 서로 힘을 합쳐야 하는 관계로 정립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교육관계 법령으로 '너는 교감, 나는 교장'을 따질 것이 아니라, '누구의 지시를 누가 받아야한다'가 아니라 교장과 교감이 서로 인격을 존중하고 자존심을 살려주고 한평생 교직생활을 하면서 혹시 모멸감이나 마음의 상처를 받지 않게 감싸 주는 따뜻한 마음이 필요하지 않을까? 마음으로 서로 통할 때 교육은 살아나는 것이다.
지역교육청도 사건이 발생하면 무조건 그 책임을 학교에 돌려 관리자를 호출하고 경위서를 받고 그 과정에서 자괴감 때문에 당사자가 교육에 한을 품고 세상을 떠나게 할 것이 아니라 교육애로써 교육가족을 감싸며, 학교를 도와주는 등 원만히 해결하는 성숙된 태도를 보여야 한다.
교장, 교감 뿐 아니라 이 나라의 모든 선생님은 존경을 먹고 산다. 그 흔한 말로 교육자로서의 긍지와 보람을 먹고 사는 것이다. 존경심과 자존심, 그리고 긍지와 보람, 우리 교육자들이 앞장서 지켜야 하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