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올해 처음 사서교사 214명을 배정했으나 실제 공고한 인원은 154명으로 집계되었다고 한다. 사서교사의 역할이 그만큼 커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사서교사의 역할이 커지는 것은 당연히 독서교육의 중요성 때문이다.
그런데, 현실은 사서교사 배정을 마냥 반길 수만은 없는 묘한 상황이다. 현장에서는 단 한명의 사서교사라도 더 배정하는 것이 옳지만,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교육신문에 따르면 초기 배정인원보다 공고한 인원이 줄어든 것은 시·도교육청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데 있다고 한다. 그 상황이라는 것을 내면적으로 살펴보면 사서교사를 배정한 만큼 일반교과의 교사를 줄여야 하기 때문이다.
각 시,도교육청에서는 독서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는 있으나 일반교과의 교사도 부족한 상황에서 사서교사를 쉽게 증원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초기배정인원보다 공고인원이 줄어들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사서교사만큼은 교원 총정원제로 묶지말고 정원외 배정이 되어야 한다. 현재 그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보건교사의 경우도 총정원으로 묶여 있기 때문에 증원이 어렵다. 교원수급과 관련하여 향후에는 정원외 배정을 늘려나가야 할 것이다.
예산상의 문제가 있긴 하겠지만 그것은 정부의 의지와 직결된다고 볼 수 있다. 교육에 투자하려는 의지가 있다면 가능하다는 뜻이다. 무조건 다른 공무원들과의 형평성 문제를 들고 나올 것이 아니고 낙후된 독서교육을 정상화 시키고자 하는 의지가 있다면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본다.
전체를 묶어놓은 상태로 그 테두리 안에서 움직이라는 것은 일선학교의 교육여건을 더욱 악화 시키는 결과만을 초래할 것이다. 정부차원의 의지만이 교원수급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법이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