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인적자원부가 40만 교사들의 동의도 구하지 않은 채 무작정 시도하려는 교원평가가 진통을 겪고 있다.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수많은 교사들은 그저 묵묵하게 자신의 자리에서 그저 아이들만을 바라보며 열심히 살고 있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할 말이 있어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그저 이 얽혀 있는 난맥상이 잘 해결되었으면 하는 바람만 가지고 있을 뿐이다.
검증되지 않은 교원평가, 자칫하면 교육공황 불러올 수 있다!
교육인적자원부(이하 교육부)는 일부 선진국들에서 실시하고 있는 검증되지 않은 교원평가를 시대적인 열망이라는 미명하에 도입하려 하고 있다. 미국이나 영국, 그리고 일본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원평가는 여전히 진통 과정에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교직을 지원하는 사람이 너무 적어 다른 나라로부터 교사들을 수입하는 실정에 있기도 하다. 그런 사정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도 없이 단지 몇몇 학부모들의 열망과 일부 교육행정가들의 선택으로 교육현장으로 끌어들인다면 그 결과는 불 보듯 뻔하다.
최근 십년 간 우리 교육계는 엄청난 진통을 겪었다. 열린교육이다, 수행평가다 해서 일부 선진국에서 완전히 실패한 정책들을 들여와 우리 교육계를 쑥대밭으로 만들어 놓았다. 그리고 수시로 변하는 입시 정책 때문에 우리 학부모들은 더한 고통을 받고 있다. 사교육비가 줄기는커녕 날이 갈수록 늘고 있는 실정이다.
교육부는 과연 이런 정책의 실패에 대한 아무런 책임도 그리고 언급도 없다. 대부분의 학부모들은 학교현장에서 교사들이 무능하고 잘못했기 때문에 그렇다고 생각하고 있다.
교원평가는 일부 선진국에서 성공한 교육정책도 아니며, 또한 그 진행과정 또한 순조롭지 못하다. 특히 교직에의 이탈현상이 심각한 지경에 이르고 있다. 현재 우리와 같이 우수한 인재들이 교직에 많이 진출하려고 하는 상황에서 자칫 검증되지 않은 섣부른 교원평가는 그야말로 우리 교육계를 돌이킬 수 없는 공황상태로 만들 수 있다는 인식의 장이 정말로 필요한 시점이다.
교육부 교육정책 개발과 진행 과정 정말 문제 없나?
교육정책을 개발하고 시행하는 과정에서 우리 교육행정은 여전히 후진국의 수준을 벗어나고 있지 못하다. 여전히 위에서 아래로의 일방적인 전달 방식에 그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일선 학교 현장 경험이 일천한 교육행정가들이 일부 선진국에서 가져온 정책들은 우리 교육 토대와의 아무런 상호 교감 없이 실시해 왔다. 그런 실정이니 우리 교육현실과는 요원한 정책들이 때로는 심각한 교육문제를 일으켜 왔다.
교육정책을 개발하고 결정하는 과정은 무엇보다 우리 현장 교육과 밀접한 관련을 맺어야 한다. 우리 교육현장을 외면한 교육정책은 그야말로 모험이 아닐 수 없다. 교육에는 실패라는 말이 있을 수 없다. 한 번은 실패는 곧 한 인간, 나아가 그 정책에 영향을 받은 수많은 학습자들이 평생 지울 수 없는 멍에를 안겨 준다. 따라서 교육 정책의 결정과 시행 과정에 신중과 신중을 기해야 한다. 교육이 백년지대계라는 말은 다름 아닌 이런 부분을 두고 하는 말일 것이다.
무엇보다 실패를 경험하지 않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실제 교육현장의 모습을 담아 낼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 교육정책의 결정과 시행의 모습은 어떠한가. 여전히 학교 현장은 무시된 채 위에서 아래로 일방적으로 전달되는 하향식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현장 경험이 전무한 몇몇 교육행정가들이 어떻게 우리의 교육현장의 모습을 제대로 이해하고 문제들을 제대로 담아낼 수 있겠는가. 천부당만부당 한 일일 것이다.
교사 외면하는 교육부, 차라리 문닫는 것이 낫다!
교원평가를 대다수 교사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아니 그 정책 결정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파급 효과를 따져 보고 시도해도 늦지 않을 것이라는 교사들의 지적에도 불구하고 교육부는 무조건 밀어붙이기식으로 교원평가를 실시하려고 하고 있다.
일부 교사들의 반발이 심해지자, 언론과 학부모들을 이용해 전면적으로 교사들을 억누르고 있는 상황이다. 교육부는 일선 학교 현장으로로 치자면 학교행정실과 같은 역할을 해야 하는 곳이다. 학생과 교사들의 요구사항을 잘 파악하고 일선 학교 현장이 잘 돌아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는 곳이다.
하지만 우리 교육현실을 그렇지 못하다. 주요한 학교정책 결정은 일선 학교 현장 경험이 전무한 교육부의 몇몇 교육행정가들이 대부분 다 결정하며, 실제로 그런 정책을 실행하는 곳은 학교 현장의 교사들이다. 여기에서 이론과 실제의 간격이 생길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 나라의 대부분의 교사들도 변화의 물결을 감지하고 있다. 그리고 온 몸으로 다 받아들일 각오를 하고 있다. 하지만 더 이상 교육정책의 실패로 우리 교육을 혼란의 장으로 만드는 일은 두 번 다시 없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열린교육과 수행평가에서 그 실패의 참담함을 경험했고, 지금도 그 상처가 제대로 아물지 않았다.
교원평가를 실시하려는 교육부가 다시 한 번 40만 교사들의 진심을 잘 파악했으면 한다. 몇 십 년을 오직 아이들을 바라보면 진정으로 살아오신 수많은 이 땅의 스승들의 눈에서 서글픔과 아픔의 눈물을 더 이상 자아내지 않았으면 한다.
교사들을 외면한 채 교원평가를 무조건 강행하겠다는 교육부 수장의 말은 다름 아닌 이 시대 40만 교사들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말로밖에는 볼 수 없다. 이 땅의 수많은 진실한 선생님들의 마음속에 더 이상 교육부를 향한 불신의 벽이 생겨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