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는 세월 막을 장사가 없다더니 새해 첫날이 엊그제 같은데 벌써 1월 달이 반을 지났다. 결국 1년의 이십사 분의 일이 지났다는 얘기다. 새해에는 웃을 일만 많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충북도지정유형문화재 제150호인 순치명석불입상(청주시 상당구 용정동 522)을 찾았다.
순치명석불의 웃음은 환한 웃음이라기보다는 소리 없이 빙긋이 웃는 미소(微笑)나 눈웃음에 가깝다. 석불의 미소를 바라보고 있노라면 세상 근심이 다 사라진다. 또 유치원생들이 선 몇 개로 그림을 그리듯, 망치질 몇 번으로 돌에 아름다운 미소를 표현한 옛 사람들의 예술성과 구경 온 사람들을 빙그레 웃게 만드는 마력에 감탄한다.
순치명석불은 88서울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2개나 따낸 신궁 김수녕을 기념해 세운 김수녕양궁장과 가깝고, 낚시터로 유명한 이정골 저수지를 가는 길목인 선돌골 마을입구의 논가에 서 있다. 문화재는 사람들과 호흡을 같이 할 때 더 빛난다. 문화정책의 부재인지 관심부족인지 석불이 가까운 곳에 있는데도 사람들은 알지 못한다.
높이 316㎝, 머리높이 70㎝인 순치명석불은 네모난 돌기둥을 깎아 얼굴과 상체를 조각한 석장승으로 표현도 선각에 가깝다. 조성연대는 기록에 보이지 않으나 불상 아래에 순치11월16일입(順治十一月十六日立) 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어 조선 효종 3년(1652)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근처 마을이 장승배기라 불린 것으로 짐작컨대 불상이면서도 마을의 수호신으로 여겨지는 순치명석불의 생긴 모습을 살펴보면 이마에는 큼직한 백호가 새겨져있고, 눈썹은 길고 큼직하게 표현하였으며, 눈은 내려 뜬 모양으로 도드라진 눈두덩이가 인상적이다. 코는 작고 짤막하며, 입은 반달모양으로 새겨 눈과 함께 얼굴 전체를 웃는 모습으로 만들었고, 입에 이어 턱과 뺨을 나타내어 얼굴이 납작하게 표현되었다. 양쪽의 귀는 조각되지 않았고, 목은 짧으며, 얼굴에 잇달아 두 팔을 수평되게 나타내었는데 두 손을 모아 턱밑에 괴었고, 아래쪽은 돌기둥을 그대로 노출시켰다.
잠깐 시간을 내면 우리 조상들의 우수한 예술성을 확인 할 수 있는 문화재들이 주변에 많다. 오늘도 가까운 곳에 있는 낚시터를 오가는 사람들을 지켜보며 순치명석불입상은 빙그레 웃고 있다. 석불 앞에서 여러가지 해결해야 할 현안들이 많은 교육계가 하루빨리 안정되어 올 한해 더 많은 아이들이 나 때문에 웃음꽃을 피울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가져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