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보도를 통해 접한 바와 같이 교육인적자원부는 교원평가 시범학교 19곳을 추가로 지정, 올해 모두 67개 시범학교를 운영한다고 한다. 이번에 추가로 지정된 학교는 초등 11개교, 중학교 3개교, 고등학교교 5개교 등이다.
이렇게 67개교에서 교원평가 시범운영을 거친 후에 그 결과를 종합하여 교원평가 모델을 만든다음 일반화시킬 예정이라고 한다. 대략 일반화 시기는 2007학년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갑작스럽게 교원평가 시범학교 수를 늘리는 교육부의 속마음은 무엇일까. 아마도 현재 지정된 학교에서 교원평가관련 시범운영에 보이지 않는 난관이 생긴 것이 아닌가 싶다. 따라서 학교수를 늘려서라도 교원평가의 일반화를 추진하기 위함이라고 보여진다.
사실 작년11월 중순이후 시작된 교원평가 시범운영이 제대로 되고 있다고 믿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이다. 시기적으로도 그렇고 그 과정 역시 무리하게 추진된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5학년도에는 시기적으로 시범운영을 도저히 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교육부에서는 그 일정을 억지로 맞추어 추진한 것이다.
학부모와 학생에 대한 만족도만 조사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동료교사에 의한 수업평가는 거의 실시하지 못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그것을 토대로 1차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도록 시범학교에 요구했다고 한다. 무슨 자료로 어떻게 시범운영 보고서를 작성할지 염려가 앞선다.
그것이 염려되는 이유는 제대로 된 보고서가 아닐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이미 각 학교에서는 학년말이 되면 학생과 교사, 학부모를 상대로 교육과정운영평가를 자체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새 학년의 학교교육과정을 편성하게 되는 것이다. 교원평가 시범학교에서 학부모와 학생의 만족도 조사라는 것이 이 범위를 벗어나지 못했을 것이다.
이런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함으로써 교육부를 더욱 급하게 만들었다는 생각이다. 따라서 교육부에서는 궁여지책으로 시범학교수를 늘렸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지 않을까 싶다. 이렇게 늘릴 바에는 처음부터 학교수를 늘려서 시작했으면 되는데, 이제 와서 늘리는 것은 뭔가 석연치 않은 느낌이 든다.
시범운영이라는 것이 문제점이 많이 발견되면 그 제도 자체를 시행하지 않아야 한다. 그럼에도 이런저런 방법을 동원하여 성과를 얻어내려 하는 것이 교육부의 목적이 아닌가 싶다. 교육부는 이런 식으로 확대 추진을 해서 억지로 꿰맞추듯 교원평가를 일반화 하려 하지 말고, 좀더 시간이 지나더라도 문제가 없고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방안 마련 쪽으로 눈을 돌려야 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