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5 (금)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e-리포트(미분류)

책읽는 대한민국이 희망이다

세계적인 경영학자 피터드러커는 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주도할 핵심 동력으로 독서를 꼽았다. 전통적인 유교문화의 영향으로 책을 가까이 하는 우리 민족의 특성에 비춰볼 때 상당한 경쟁력을 갖췄다고 자평할 수도 있으나 그 내면을 들여다보면 실망을 금치 않을 수 없다.

이달 초,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1가구가 책 신문 잡지 등 '읽을거리'에 쓴 지출액이 월평균 1만397원으로 전체 소비지출액(204만8902원)의 0.5%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월평균 4576엔(약 3만9200원)을 쓰는 일본의 4분의 1, 23.3캐나다달러(약 2만200원)를 지출하는 캐나다의 2분의 1에 불과한 수준이다.

같은 문화비용이라 하더라도 오락이나 취미생활과 관련한 지출액(9만7446원)에 비해 현격히 차이가 나는 것도 문제지만 더욱 놀라운 것은 서적·인쇄물을 구입하는데 들어간 비용 가운데 신문대금이 포함되어 있어 사실상 책 구입비는 '제로(0)'에 가깝다는 사실이다.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 안에 가시가 돋친다'던 안중근 의사의 기개가 무색할 지경이다.

가계(家計) 소비지출액에서 '서적·인쇄물 지출액'의 비중이 현격히 떨어지는 것은 열악한 독서문화를 감안했을 때 어쩌면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지난해 세계적인 여론조사기관인 NOP월드가 세계 30개국 13세 이상 3만여명을 면접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의 주당 독서시간은 3.1시간으로 조사대상국 가운데 최하위로 나타난 바 있다. 이는 세계 평균인 6.5시간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그에비해 컴퓨터나 인터넷을 사용하는 시간은 세계 평균인 8.9시간보다 많은 주당 9.6시간으로 나타났다.

2003년 유엔에서 조사한 국가간 한 달 독서량 비교에서 한국은 0.8권으로 세계 166위를 기록한 바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의 평일 독서시간은 하루 평균 8분으로, 10분 이상 책을 읽는 사람은 12.7%에 그쳤다. 더 심각한 것은 책을 가장 많이 읽어야할 청소년들이 입시경쟁으로 인하여 갈수록 독서율이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수년간 평균 97%대에 머물던 학생독서율도 지난해에는 사상 처음으로 80%대로 떨어져 학생 10명당 1명이 1년에 책 한 권도 읽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관련 인프라도 심각한 것은 마찬가지다. 2004년 국정감사 때 밝혀진 국민 1인당 도서관 장서수는 0.56권으로 핀란드(7.15권), 미국(2.59권), 일본(2.19권), 독일(1.82권)에 비해 크게 낮은 것은 물론이고, 독서의 요람으로 불리는 공공도서관 한 곳의 사용 인구도 핀란드(3200명), 독일(3900명), 덴마크(4500명), 미국(2만6000명)에 비해 턱없이 많은(10만명) 것으로 나타났다.

굳이 이와같은 통계 자료가 아니더라도 적신호가 켜진 독서문화는 주변을 둘러보면 얼마든지 확인할 수 있다. 독서열기를 간접적으로나마 확인할 수 있었던 버스나 지하철내에서의 독서 장면은 어느새 휴대폰이나 MP3같은 전자기기를 다루는 모습으로 바뀌고 말았다. 예전에는 학교에서도 독서삼매경에 빠진 학생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으나, 이제는 교양도서를 읽는 학생은 그야말로 가뭄에 콩나듯 한다. 하바드를 비롯한 세계적인 명문대학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인도 학생들의 저력이 바로 세계 최고의 '책벌레(주당 10.7시간)'로 꼽히는 인도인의 독서력에서 기인한다는 지적을 귀담아 들어야 할 것이다.

정보화 시대로 나아갈수록 독서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다. 현재와 같은 열악한 독서문화로는 세계화시대를 선도하는 중심국가로 성장할 수 없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교역규모로 볼 때 세계 10위권에 근접하는 경제력을 갖춘 나라에서 개발도상국 수준에도 못미치는 독서력을 지녔다면 이 나라의 미래는 암담할 수밖에 없다. 살아있는 역사가 증명하듯 세상은 책읽는 사람들이 지배하기 마련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