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시스템인 '교무업무시스템'이 사실상 시작되었다. 이는 기존의 NEIS 시스템에서 교무/학사, 입/진학, 보건등의 3개영역을 분리 운영하기로 함에 따른 것이다. 그동안 520억원이라는 추가비용이 들긴 했지만 정보보호를 위한 한단계 업그레이드 된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그동안 NEIS의 27영역 중 3개영역만 시행되지 못했었다. 이로인해 일선학교에서는 적지않은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학교에서의 업무는 다양하지만 그래도 중요한 부분이 학생들의 생활과 관련된 업무들이다. 생활기록부 작성은 기본이고, 전·출입관리, 입학 및 진학등이 학생생활과 직접 관련된 업무들이기 때문이다. 이들 시스템을 제외하고 운영되어온 기존의 NEIS시스템은 최소한 교사들에게만은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았었다.
이들 3개 업무가 제대로 자리잡히지 않은 상태에서 학교별로 시스템을 달리해 오다보니, 서로 호환이 잘 안되는 경우도 발생하여 일선학교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전국적으로 통일된 하나의 시스템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그동안의 어려움이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시스템이 시작되었다고 해서 학생들의 정보보호가 100% 확보된 것으로 보기는 어렵지만, 그래도 그동안 시간을 두고 충분한 보완이 되었다고 본다. 따라서 이제는 이 시스템을 정착시키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교사들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와 이를 하루빨리 현장에 적용시키기 위한 적응력을 길러야 할 것이다. 처음에는 다소 어려움이 따르고 숙달되기 까지는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모든것이 업무경감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 따라서 학교현장에서의 노력정도에 따라 시스템의 안정은 물론 업무처리의 효율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