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4 (목)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대한민국은 욕설왕국인가?


신문기사의 일부분입니다. 이런 사태(?)를 접하면서, “이게 어디 어제 오늘 일인가?”하며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분들도 있겠지만, 그러나 대부분은 “어린이들이 설마 이렇게까지!” 하며 강한 의구심과 함께 놀라움을 감추지 못할 것입니다.

“이놈의 세상이 어찌 되려고 어린 것들까지 점점 싸가지 없게 지껄이나 몰러...” 이러한 추세에 한 어르신은 혀를 끌끌 차며 입을 다물지 못합니다. 그러나 어찌 이것이 어린이들만의 탓이겠습니까? 물론 어린이들도 반성해야 합니다. 그러나 어린이들을 이 지경까지 이르게 한 어른들이 더 많이, 더 깊이 반성해야 할 것입니다.

아이들에게 욕설을 권하는 대한민국

제가 보기에도 대한민국은 욕설왕국입니다. TV드라마에서 이제 욕설은 빠지면 안 되는 중요한 양념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영화는 더 말할 것이 없습니다. 욕설을 빼면 영화 자체가 안 된다고 말합니다. 인터넷에도 욕설이 난무합니다. 자기와 생각이 조금만 달라도 차마 입에 담기 어려운 갖은 욕설을 퍼붓고 인신공격도 서슴지 않습니다.

연예인들은 물론이고 정치인, 경제인 등 소위 모범이 되어야 할 공인이나 지도급 인사들도 걸핏하면 폭언과 막말과 비속어를 일삼아 하루가 멀다 하고 신문 방송을 장식하니, 자라나는 어린이들이 무엇을 보고 배우겠습니까?

‘앞을 보면 욕설, 옆을 보면 비속어, 뒤를 보면 막말’이 난무하는 이런 사회적 악조건 속에서 과연 우리 아이들이 바른말 고운말을 쓸 수 있겠습니까? 이것은 마치 3급수도 안되는 한강물에서 1급수 열목어나 산천어가 살기를 기대하는 것과 무엇이 다를까요?

청소년들에게 욕설은 반항의 문화코드?

어린이들이 이 정도이면 청소년들은 어떨까요? 차마 옮길 수가 없을 정도입니다. 고교생 33명(한 학급) 중에서 욕설을 거의 안 하는 사람 손들어 보라고 하니까, 겨우 세 명만이 손을 들었습니다.

* 청소년들이 많이 쓰는 욕설과 비속어 *

- fuck you, 뻐큐, 빠큐, 凸, 가운데손가락 등등
- X까, X빨아, X도, X나, 존나, 존내, 조낸, 졸라, 욜라, 열라 등등
- X할, X팔, X발, X부랄, X새끼 등등
- 승질 박박 긁는 울 담탱이, 재수 없어, 지랄, 깝싸네 등등

바야흐로 욕설의 대중화, 평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셈이지요. 일부 청소년들과 매체에서는 욕설도 하나의 문화코드라고까지 주장합니다. 이제는 무엇이든 갖다 붙이기만 하면 ‘문화’입니다. 예전하고 다른 요즘 청소년들의 욕설 세태를 몇 가지 든다면, 부끄러워하기는커녕 점점 거침없고 당당하고 대범해졌다는 점입니다. 영화나 인터넷을 통해 ‘멋진 욕’을 배워오면 오히려 친구들 사이에서 인기도 끌고 영웅시된다고 합니다.

또한 요즘은 남녀를 불문하고 욕설과 비속어를 내뱉는다는 점입니다. 예전에는 일명 노는 남학생들만 주로 욕설과 심한 비속어를 썼는데 반해, 요즘은 여학생들까지 가세를 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교복을 입은 예쁜 여학생의 입에서 육두문자가 아주 자연스럽게 튀어 나올 때는 정말 가슴이 철렁 내려앉습니다.

그리고 이른바 모범생들도 욕설에서 예외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선생님과 부모님만 없으면 이들의 입에서도 아주 자연스럽게 욕설과 비속어가 튀어나옵니다. ‘서울대 여학생들도 복도에서 스스럼없이 욕을 해댄다’는 사실은 이제 공공연한 비밀이 되어버렸습니다.

“인터넷, 대중매체 등 아이들의 의사소통 네트워크가 넓어지면서 언어교육을 담당할 주체가 사라졌다. 학교는 힘이 없고, 가정은 무지하며, 사회는 무책임하다. 관심을 갖지 않으면 우리의 언어생활은 무너질 것”이라고 서울교대 황정현(국어교육) 교수는 우려를 표시합니다.

어른들부터 대오각성하고 바른말 고운말을 사용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러면서 동시에 욕설이나 비속어를 거침없이 내뱉는 우리 아이들을 방관하지 말고 바로 잡아 주어야 합니다. 부모님들의 자녀 교육이 가장 중요합니다. 부모님들부터 먼저 바른 말 고운말을 실천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나는 바담풍할 테니 너는 바람풍하라’는 격이 되고 맙니다. 아울러 자녀들이 바르지 못한 말을 쓰면 따끔하게 지적해야 합니다.

댁의 아이는 건강한가요?

다들 ‘내 아이만은 안 그러겠지’하고 방심하는데, 결코 그렇지가 않습니다. 제가 지도하는 학생 중에 전혀 욕설을 할 것 같지 않은, 아주 애 띠고 예쁘장하게 생긴 녀석이 한번은 휴대전화로 문자메시지를 열심히 주고 많고 있기에 가만히 옆에 가서 보았더니, 친구랑 심한 욕설을 주고 많으며 이른바 ‘문자수다’를 떨고 있었습니다.

교육상 아무래도 부모가 아는 것이 좋겠다 싶어 어머니께 연락드렸더니 ‘우리 아이가 그럴 리가 없다’며 펄떡 뛰시더군요. 내 아이는 내가 가장 잘 알 것 같지만, 때로는 등잔 밑이 어둡다는 속담처럼 다른 사람 다 아는 사실을 부모만 모르고 있는 경우도 있거든요.

얼마 전 학교에 가서 저희 아이 담임선생님을 만나고 온 집사람이 아이를 세워놓고 눈물 쏙 빠지게 혼내고 있더군요. 왜 그러냐고 물었더니, 글쎄 저희 아이가 학교에서 가끔씩 “졸라 좋아요.”라는 말을 쓴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선생님이 조심스럽게 묻더라네요. “혹시 아버님이 욕설을 더러 하시나요?”

재작년부터인가 태권도 학원을 다니기 시작하면서 아이가 가끔씩 “아이, 씨!, 졸라 맛있겠다!” 이런 표현을 쓰기에 크게 혼낸 적이 있습니다. 그 이후로 쓰지 않는다고 생각했는데, 집 대신 학교에서 쓰고 있었던 것입니다. 이번에는 ‘졸라’가 ‘무척’이나 ‘매우’의 뜻이 아니라 남자의 성기를 가리키는 아주 나쁜 욕설이자 금기어라는 사실을 일깨워주었습니다.

아울러 ‘졸라’의 원형에 해당하는 ‘단어’를 국어사전에서 찾아 그 비슷한 욕설까지 설명하며, 쓰면 왜 안 되는가를 일러주었습니다. 아이의 표정을 보니, 화를 내며 무조건 쓰지 말라고 했던 지난번과는 분명 달라보였습니다.

“욕설은 듣는 사람보다 하는 사람이 더욱 더러워지는 것입니다. 어떤 사람은 평소에는 행실이 좋은데, 술만 마시면 개로 변신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또 어떤 사람은 인물도 잘 생기도 좋은데, 가까이 접근하면 오래 된 재떨이 냄새가 나는 사람도 있습니다. 또 어떤 사람은 술, 담배도 안하는데, 입에 욕을 달고 다니는 사람이 있습니다. 평소 행실이 불량하면 욕을 해도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 넘어가는데, 멀쩡해 보이는 사람이 입에 욕을 달고 다니는 것은 정말 보기 안 좋더군요. 이 모든 것들이 다 자기 자신을 스스로 깎아내리는 행동이니 자제합시다. 멋 내고, 옷 잘 입고, 성형수술하고, 다이어트 하는데 들어가는 돈과 노력과 시간 중에서 아주 조금만을 술, 담배, 욕설 등을 줄이는데 투자한다면 자기 자신을 남들 앞에서 훨씬 좋게, 가치 있게 보일 수가 있을 텐데... ”

한 누리꾼이 욕설을 남발하는 학생들과 어른들을 보면 개인적으로 무척 안타깝다면서 토로한 푸념입니다.

백범 김구 선생이 꿈꾸던 우리나라는 군사대국도 아니요, 경제대국도 아니었습니다. 문화대국이었습니다. 그런데 어쩌다가 문화대국은 고사하고 욕설왕국이 되어 가는지 안타깝고 서글프기 짝이 없습니다. 다 알다시피 거친 말은 심성도 거칠게 하고 또한 행동까지 거칠게 만듭니다. 반대로 곱고 좋은 말은 심성도 순화시키고 행동까지 좋게 만듭니다. ‘말이 씨가 된다’는 말처럼 언어에는 보이지 않는 힘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언어사회는 현재 사막과도 같아서 정말 그 어느 때보다도 거칠고 메마르기 짝이 없습니다. 우리나라만큼 심한 욕설이 난무하는 나라가 또 있을까요? 어서 빨리 전 국민이 바른 말 고운말을 생활화여 다시 기름진 옥토로 되돌려야 하겠습니다.

프랑스에서 살다 온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보니, 프랑스의 경우 고등학교만 졸업해도 시(詩)를 3백편 가까이 외운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그런지 프랑스 사람들의 대화에는 자연스럽게 시가 등장한다고 하더군요. 이 이야기를 들으면서 한없이 부럽기도 하고 창피하기도 했습니다. 우리도 이제는 불명예스러운 ‘욕설왕국’이라는 딱지를 벗어버리고 아시아에서 가장 모범적인 민주주의 국가답게 성숙한 ‘문화대국’으로 한걸음 성큼 나아가야 하지 않을까요?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