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1 (월)

  • 맑음동두천 20.0℃
  • 구름조금강릉 15.6℃
  • 구름조금서울 21.4℃
  • 구름조금대전 22.4℃
  • 구름조금대구 18.6℃
  • 맑음울산 12.8℃
  • 구름많음광주 20.5℃
  • 맑음부산 13.5℃
  • 흐림고창 20.3℃
  • 흐림제주 20.2℃
  • 맑음강화 18.3℃
  • 맑음보은 20.1℃
  • 구름많음금산 21.3℃
  • 구름많음강진군 16.6℃
  • 구름조금경주시 14.7℃
  • 구름조금거제 13.9℃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언론은 본연의 모습 보여라

매일같이 쏟아지는 교육관련 뉴스에 교육당국은 물론 일선학교도 어수선한 분위기다. 그도 그럴 것이 교권침해, 교사의 인권침해 사건이 일어났는데도 교사를 이해하려는 곳은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보다못한 교원단체에서 교권침해를 일삼은 학부모를 고발하자 이번에는 이에대해 역으로 공략하며 학부모 단체와 언론이 어수선한 분위기를 한층 부추기고 있다.

교원단체나 교육당국에서 교권침해사건을 일으킨 학부모를 고발한다고 하자 이에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고발이 최선의 방법이 아니라는 것쯤은 교육계 종사자들은 모두 알고 있다. 그동안 그런 불상사를 막기위해 인내를 가지고 노력해 왔다. 앞으로도 이런 인내는 지속될 것이다.

그러나 지나친 교권침해나 인권침해를 가져오는 사건이 발생할 경우의 제도적 장치는 필요하다. 최소한의 제도적 장치를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이다. 무조건 적인 고발이 있을수 없다는 것쯤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생각이다. 고민, 또 고민끝에 내려야 할 것이 바로 법에 호소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법은 최후의 수단이다.

여기서 이런 분위기에 반대하는 학부모 단체와 언론에 묻고 싶은 것이 있다. 만일 학교에서 교사에 의해 학부모가 인권침해를 당했다면 가만히 보고만 있을 것인가. 매우 좋은 방법을 찾아서 인내를 가지고 해결할 것인가. 또한 언론을 상대로 비슷한 행위를 일반인이 했을 경우 언론은 참고 기다릴 수 있는가. 인내를 가지고 대화로 풀어나갈 자신이 있는가.

그렇지 않을 것이다. 아마도 문제를 더욱 확대시켜 사회적 관심을 불러 일으킬 것이다. 절대로 참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유독 교사에게만 너그럽기만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입장을 바꿔놓고 생각해 볼 문제이다. 물론 교사들이기 때문에 그렇게 요구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사건이 터졌을 때는 아무런 이야기 없다가 고발한다는 대책을 내놓자 바로 반론을 제기하고 있다. 교사들이 화나는 충분한 이유이다.

학생에게 떠밀려 폭행을 당한 교사를 생각해 보자. 그 교사는 그렇게 제자에게 교권을 침해 당했지만 학생을 처벌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했었다. 이 경우 그런학생은 처벌해야 한다는 반론을 제기하는 학부모는 왜 없을까. 결국 그 학생은 전학가는 것으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것이다.

SBS의 심층리포트를 보자. 도대체 뉴스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심층리포트면 최소한 문제를 진단하고 어떻게 해결해야 할 것인지 대안을 제시했어야 한다. 그럼에도 이런 것이 해결되어야 한다는 이야기만 뒤풀이 하고 끝냈다. 도대체 어떻게 하란 말인지 모르겠다. 이런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것 모르는 사람은 없다. 다만 그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는 대안을 찾아야 한다. 무조건 문제삼는 것은 옳지 않다.

최근에 우리학생들이 이런 이야기 하는 것을 들었다. '학교에서 일어나는 체벌사건 등을 뉴스로 고발하면 그에 대한 대가를 방송국에서 준다'는 것이다. 동영상을 핸드폰등으로 촬영해서 보내면 된다는 것이다. 만일 이 이야기가 사실이라면 해당 방송은 정말로 있을 수 없는 일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 동영상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촬영되었다면 그것을 누가 책임질 것인가.

이제는 학무모, 언론 모두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학교와 교사를 보아야 한다. 편향된 시각으로 보지 말아야 한다. 교사의 교권과 인권도 함께 생각해 주길 바란다. 왜 자꾸 교사만 문제 삼는가. 정말로 그렇게 교사들이 나쁜집단인지 묻고 싶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