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5.5℃
  • 맑음강릉 22.9℃
  • 구름많음서울 26.7℃
  • 구름조금대전 27.3℃
  • 구름많음대구 24.7℃
  • 맑음울산 20.5℃
  • 흐림광주 25.1℃
  • 맑음부산 19.0℃
  • 흐림고창 24.6℃
  • 구름많음제주 25.4℃
  • 흐림강화 22.5℃
  • 구름많음보은 23.9℃
  • 구름많음금산 26.6℃
  • 구름많음강진군 22.2℃
  • 맑음경주시 23.1℃
  • 구름조금거제 19.9℃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편리해진 전입학으로 발생하는 문제

예전에는 월 2회만 전입학 배정을 하던 때가 있었다. 그러던 것이 매주 1회로 확대 되었었고 이제는 언제나 필요할 때면 전출이나 전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있다. 전 출,입이 그만큼 편리해졌다는 것을 피부로 느낄 수 있다. 많은 발전을 한 것임에 틀림없다. 최근에는 학부모가 전출교만 방문하면 교육청까지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전입해갈 학교를 원하는 대로 배정 받는 시스템으로 발전했다. 놀라운 변화가 아닐 수 없다.

요즈음은 전국의 대부분 중, 고등학교에서 기말고사를 한창 보고 있거나 막 끝난 상태일 것이다. 우리학교(서울 대방중학교, 교장: 이선희)도 1학기 기말고사를 마치고 성적처리가 한창이다. 방학전까지는 성적처리가 마무리 되어야 학생들에게 통지표를 배부할 수 있다. 특히 우리학교의 경우는 7월로 1학기가 마감되고 개학하면 바로 2학기 시작이다. 학교장에게 주어진 권한을 제대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학교보다 더 바쁜 시간을 보내는 이유이다.

그런데 문제는 전입생들이다. 기말 시험을 모두 마치고 성적을 가지고 오면 별문제가 없지만 전출교는 기말고사 전이고 전입교는 기말고사후일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물론 중간고사의 성적을 토대로 하면 별다는 문제가 없을 수도 있지만 1회 시험만을 가지고 그대로 반영한다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성적처리가 학기별로 끝나버리기 때문이다. 예전처럼 학년단위로 성적처리가 이루어지면 큰 문제가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전입생의 성적반영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 기말고사를 실시하지 않은 학교에서 전입해 오더라도 이런 경우가 있다. 즉 수행평가와 지필평가를 혼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수행평가의 성적은 그대로 전입교에 송부된다. 그런데 30% 정도의 반영으로 점수가 오게 되면 그것을 100점으로 환산해야 할 경우가 발생한다. 즉 이미 시험을 치른 상태이기 때문에 전출교의 성적으로 그대로 인정하기 때문이다.

이런경우의 성적이 객관적인 자료라고 이야기 하기 어렵다. 반대의 경우도 있다. 수행평가점수를 반영해야 하는데, 거꾸로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어느경우는 중간고사에서 지필평가를 50점 만점으로 실시하고, 기말고사에서는 수행평가를 50점 만점으로 하기도 한다. 중간고사에서 받은 점수가 50점 만점일 경우 전출교에서는 기말고사 전이고 전입교에서는 기말고사 후일 경우 그 50점을 환산하는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해당학생에게 유리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보다도 이런 경우가 발생하면 학교내의 성적관리위원회를 가동시켜야 한다. 학기말 업무에 쫓기는 현실에서 시간낭비가 아닐 수 없다. 최소한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다고 보기 석연찮은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전출교와 전입교에서의 성적환산 방법이 다를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다. 현재로서는 뚜렷한 개선책을 찾기 어렵지만 연구대상이 될수 있다고 본다. 중요한 것은 학생들에게 피해가 갈 수 있다는 것이다.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