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7월 31일에 실시될 교육위원선거가 막판에 접어들면서 각 후보들의 상대후보에 대한 비방은 물론, 고소, 고발까지 이어지는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 이미 소견발표회를 마친 지역도 있고 한차례 정도의 소견발표회를 남겨둔 지역도 있다. 선거막판에 접어들면서 이들의 경쟁이 치열해 지는 것은 당연하지만, 선의의 경쟁이 아닌 상대후보를 헐뜯고 흠집내는 쪽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서울의 A지역에 출마한 B후보는 같은 지역에 출마한 C후보로 부터 고발을 당했다고 한다. 이유는 선거인단인 학교운영위원회 위원들을 만났다는 것이다. 만나서 식사대접을 했는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어 선관위의 조사결과가 주목된다고 한다.
그런데 문제는 후보들이 과연 학교운영위원회 위원들을 전혀 만나지 않았겠느냐는 것이다. 선거에 관심있는 교원이나 시민들의 반응은 한결같이 후보라면 서로 비슷한 행동을 했을 것이라는 것이다. 즉 고발한 쪽이나 고발당한 쪽 모두 운영위원회 위원들을 만났을 것이고 식사때가 되면 식사대접을 했을 가능성도 높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특정후보를 고발하는 것은 자신에게 유리하게 분위기를 이끌어가기 위한 포석일 가능성이 높다.
사실 교육위원 선거의 선거운동 방법은 극히 제한적이다. 소견발표회, 후보 공보물, 언론이나 공공단체에서 주관하는 토론회 참가가 전부이다, 현재 출마한 후보자는 물론 현역 교육위원들도 이 선거운동 규정을 정확히 지켰다고 보기는 어렵다. 결국 불법선거운동은 누구나 다 했을 것인데, 특정후보를 상대로 고발하는 것은 정책대결로 이루어져야 하는 선거에서 결코 바람직한 방법은 아니라는 생각이다.
기본적으로는 구조적인 문제가 더 크다. 결과적으로 선거방법의 개선이 우선되어야 하겠지만 현재의 방식에서는 정책대결로 가야 한다. 정책대결에 앞서 자신보다 유리해 보이는 후보를 비방하고 고발하는 식의 운동방법은 교육발전의 저해요소이다. 교육위원의 역할이 갈수록 중요해지는 시점에서 모든 후보들이 정정당당하게 대결하는 모습을 보고싶다.
어떻게든지 당선만되면 된다는 식의 생각은 버려야 한다. 선거관리위원회에서는 향후에 당선이 되더라도 선거법위반이 밝혀지면 당선을 취소하는 등의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출마자들의 의식전환이다. 건전한 정책대결로 이어지는 선거가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