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도덕성 물의를 일으키고 의혹이 증폭되었던 김병준 교육부총리가 결국은 사의를 표명했다. 어차피 이런 수순을 밟을 것이었다면 좀더 일찍 결단을 내렸어야 했다. 시간을 끌면 해결될 것으로 본 것이라면 잘못된 판단이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도리어 도덕성 문제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교육혁신위원회의 교원정책 특별위원회에서 공식적으로 부결되었던 공모형 무자격 교장임용제가 다시 추진되어 오는 12일에 최종 결정을 내릴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미 최종결정이 내려진 문제에 대해 또다시 최종결정을 내리겠다고 한다. 이번에도 안되면 또다른 방법으로 제3의 최종결정이 내려질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위의 두 경우를 보자. 객관적으로 잘못된 것이 확실함에도 시간을 끌면서 조금씩 방법을 바꿔서 새롭게 추진해 왔다. 교육부총리 문제는 어느정도 가닥을 잡아가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공모형 무자격 교장임용제는 쉽게 수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결론없는 시간이 계속 흐르고 있다.
지나치게 고집스런 추진이 자꾸 문제를 키우고 있다. 김병준 교육부총리 문제만 하더라도 초기에 진압이 가능했다. 이미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켜보자' '시간이 지나면 해결된다'는 식의 필요없는 고집이 문제를 더 키운 것이다. 결국은 사퇴표명까지 이어졌다. 그렇게 시간을 끌어서 얻어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
교육혁신위원회도 마찬가지이다. 이미 한차례 부결되었다면 그것으로 끝냈어야 옳다. 방법을 조금 바꾼다고 해서 지지받을 것으로 생각한다면 그것은 잘못된 판단이다. 이 역시 지나친 고집으로 문제만 자꾸 키우고 있는 것이다. 어떻게 새로운 방법을 도입한다고 하면서 객관성 없는 방법을 자꾸 고집하는지 이유를 알 수 없다.
교육이 이렇게 고집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보편, 타당성과 합리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지나친 고집을 버리고 현실로 돌아와야 한다.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문제 해결은 더욱더 어렵게 된다. 더 어려워지기 전에 지나친 고집을 버리고 현실과 타협하는 것이 어떨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