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구의 모 고등학교에서 발생한 교사의 폭력성 체벌에 대해 논란이 크다. 특히 방학중 보충수업에 늦었다는 이유로 200대를 때린 교사가 사표를 제출함으로써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최근 이와같은 체벌문제가 자꾸 대두되는 것은 그만큼 우리나라의 교육이 학생의 인권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변해가고 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다.
학생을 도를 지나치게 체벌을 가한 것은 명백히 잘못된 일임에 틀림없다. 전문가들도 입을모아 체벌은 교육적 효과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전적으로 동의한다. 체벌은 또다른 체벌을 낳기 때문이다. 병균을 죽이기 위한 항생제에 대해 병원균이 내성이 생기듯이 학생들도 체벌을 가하면 가할수록 내성이 생기게 된다. 그러다보면 어제보다는 오늘, 오늘보다는 내일은 한대를 더 때려야 하는 악순환이 지속되게 된다.
체벌에 대한 사회적인 분위기도 이제는 더이상 교사들이 체벌을 가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이런 분위기와 함께 학생들의 체벌에 대한 불신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교단에서 체벌이 사라져야 하는 이유는 명백하다. 체벌이 교육적으로 별다른 효과가 없다는 판단에서이다.
그러나 문제는 체벌이 없어져야 함에도, 그를 대신할 만한 제도적 뒷받침이 없다는 것이다. 무조건 체벌을 없애야 한다는 분위기로만 몰아갈 뿐 체벌을 하지 않고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없기 때문에 교사들이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이다. 없애면 그만이지 무슨 다른 장치가 필요하냐고 반문하겠지만, 학교 현장은 그렇지 않다.
실제로 아무리 수업준비를 잘해서 수업에 들어가도 한, 두명의 학생 때문에 수업을 제대로 진행하지 못한 경험을 교사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을 것이다. 외부 전문가들이 놓치는 부분이 바로 이부분이다. 즉 학교 교실의 현실을 명확히 꿰뚫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체벌을 하지 않기 위해 벌을 주면 그것에 대해 또다른 문제를 제기할 것이다. 학생들을 방치하고 수업을 진행하면 교사에게 문제가 있다고 할 것이다.
학교는 여러학생들이 함께 모여서 공부하는 곳이다. 따라서 교실의 분위기는 매우 중요하다. 물론 그런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교사의 할일이 아니냐고 반문한다면 할 말이 없지만 그것이 쉬운일은 아니다. 공부를 할려고 하는 학생들을 보호해야 할 의무도 교사에게는 있는 것이다.
체벌이 필요하다는 뜻은 아니다. 앞서 밝힌것처럼 체벌이 없어져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대다수의 학생들을 보호할 수 있는 체벌아닌 다른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학교에서 교칙을 정해도 학생들이 안지키면 그만이다. 달리 방법이 없다. 이런 현실에서 무조건 체벌을 없애야 한다는 논리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대처할 만한 방안이 나와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부에서 별도의 연구팀을 만들어 연구하는 방법은 어떨까 싶다. 말 그대로 학생들이 스스로 지킬 수 있는 그런 안들을 연구해야 한다. 그런 연구를 해야 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체벌은 교육적 효과가 없기 때문에 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학교는 정상적인 교육활동을 해야 하는 곳이기 때문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