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학교가 한달여의 방학을 마치고 다음 주면 개학을 하게 된다. 방학이라고는 해도 나름대로 연수나 기타 활동으로 편히 지낼 수 없는 것이 요즈음의 현실이다. 특히 교장, 교감 선생님들은 거의 방학이 없었다고 해도 절대 과장된 이야기는 아니다. 연수 하나도 제대로 받을 수 없는 것이 교장, 교감 선생님들의 현실이다.
그래도 교사들은 방학이 되면 나름대로 계획을 세워 개학 후에 새롭게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노력할 수 있는 시간은 있다. 그 시간을 어떻게 지내느냐의 문제는 교사 개개인에 달려 있는 것이다. 말 그대로 자기연찬을 충실히 할 수 있는 기회인 것이다. 그런데 그런 연찬의 시간을 사소한 일 때문에 빼앗기는 경우가 방학중에 종종 발생한다.
무슨 이야기인가 싶겠지만, 방학이 되어도 계속해서 내려오는 공문 이야기이다. 때로는 꼭 필요한 공문들이 내려오기도 하지만, 어떤 경우는 방학중에 꼭 보고를 요하는 공문이 아닐 경우도 있다. 지역교육청이나 시교육청에서 임의적으로 보내는 공문이 아닌 경우가 있긴 하지만 그런 공문들이 방학중에 교사를 괴롭히는 주범인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그런 공문을 접하면 학교에서 근무중인 교사가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반드시 담당부서에서 처리해야 하는 것이다. 물론 앞서 언급한 것처럼 시간적으로 그때가 아니면 안되는 공문들이 있는가 하면, 개학 후에 보고해도 되는 공문들도 있다. 그런 공문들이 교사들을 괴롭히는 것이다.
그 공문들이 접수되면 학교에서는 어쩔수 없이, 해당 부서의 부장이나 소속 교사들을 호출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담당자는 쉽게 해결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 어떤 경우는 하루종일 학교에서 자료를 찾고 보고문서를 작성해야 할 때도 있다. 이로인해 때로는 연수중인 교사가 연수에 빠지면서까지 학교를 나오기도 한다.
방학중에 그것도 못하느냐고 반문하면 할 이야기 마땅치 않지만, 역으로 꼭 방학때 교사들이 학교에 출근해서 처리해야 할 만큼 중요한 공문인가를 묻고 싶다. 개학후에 보고해도 되는 공문일 경우는 뒤로 미뤄두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이다. 물론 급한 공문의 경우는 어쩔 수 없다. 그렇지 않은 경우가 간혹 포함되는 경우가 그렇다는 것이다.
교육청이나 교육부에서도 나름대로 이유가 있고 어려운 점이 있어서 어쩔 수 없이 보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면서도 방학때는 좀 자제했으면 좋았을 텐데라는 생각이 자꾸 드는 이유가 이유가 무엇일까. 효율적인 업무처리를 도와 주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