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여지없이 학교평가의 시기가 다가왔다. 대체로 2년마다 학교평가가 실시되고 있는데, 올해가 해당된다. 이미 방학전부터 학교평가에 대비해온 학교도 있고, 개학후에 준비에 돌입한 학교도 있다. 아무래도 올해 2학기의 최대 관심사는 학교평가가 될 전망이다.(서울시 교육청의 경우)
학교평가와 관련하여 이미 각급학교에 평가지표와 평가방법 등이 전달되었다. 학교에서 원하는 시기와 비슷하게 시기를 조정하고 있다고 한다. 모든 학교를 같은 시기에 할 수 없기 때문에 시기조정은 불가피하다. 학교마다 대체로 마지막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이다. 먼저 평가를 받아서 좋을 것이 별로 없다는 판단이 서기 때문이다.
각 학교에서는 그동안 실시했던 여러가지 증빙서류를 준비하게 되는데, 준비작업은 관련서류를 제시하면 되므로 그리 큰 어려움은 없다. 문제는 이런 식의 학교평가를 꼭 해야 하느냐이다. 즉 모든 학교에서 거의 같은 활동을 하고 교육과정 역시 비슷하게 운영하고 있는데 어떻게 차별화를 두면서 평가를 할 수 있느냐가 문제라고 본다.
평가관련 서류를 따로 준비해야 하는 것도 있지만, 대체적으로는 학교교육계획서를 보면 다 알 수 있는 용이다. 이 부분들이 서로 비슷한 상황인데, 어떤 학교에서 좀더 충실히 했느냐를 가려내야 하는데, 그것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서로 차별된 교육과정을 운영한다면야 쉽게 우,열을 가릴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모든 학교들의 교육활동이 비슷하게 짜여져 있다. 관련서류도 서로 비슷하다.
흔히 말하는 획일적인 평가이다. 평가 자체는 좋지만 무조건 모든 학교에 똑같은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옳지 않다. 물론 현실적으로는 똑같은 기준을 통해서 평가를 할 수 밖에 없지만 바로 이것이 획일적 평가를 할 수 밖에 없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학교평가를 할 수 밖에 없다면 개선해야 할 여지가 충분히 있다.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학교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교장과 학교구성원에게 각종 권한을 위임해야 한다. 현재처럼 대부분의 학교들이 상부기관(교육청 등)의 간섭을 받으면서 교육활동을 하는 경우는 획일적 평가가 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학교에 권한을 위임하게 되면 획일적 평가보다는 학교의 현재 상황을 파악하면서 학교평가를 할 수 있는 것이다.
학교에 권한을 위임한 다음에는 평가결과에 대해 해당학교 교원들이 다같이 책임질 수 있는 풍토를 조성해야 한다. 위임받은 만큼 효율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노력해야하고 또 그렇게 할 것이다. 지금의 학교평가제도에서는 평가결과가 별다른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학교평가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단위학교에 권한위임등의 조치가 먼저 취해져야 한다. 권한도 없는데 결과만 요구하는 풍토가 우선 사라져야한다. 각 학교의 특색이나 여건에 따라 평가방법도 달리해야 한다. 학교의 상황이 다른데 평가를 똑같은 기준으로 한다면 상대적으로 소외감을 느끼는 학교들이 나올 것이다. 현재로서는 획일적인 학교평가보다 선행조건을 완벽히 준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