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5.5℃
  • 맑음강릉 22.9℃
  • 구름많음서울 26.7℃
  • 구름조금대전 27.3℃
  • 구름많음대구 24.7℃
  • 맑음울산 20.5℃
  • 흐림광주 25.1℃
  • 맑음부산 19.0℃
  • 흐림고창 24.6℃
  • 구름많음제주 25.4℃
  • 흐림강화 22.5℃
  • 구름많음보은 23.9℃
  • 구름많음금산 26.6℃
  • 구름많음강진군 22.2℃
  • 맑음경주시 23.1℃
  • 구름조금거제 19.9℃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그냥 발표하기 위한 조사였나

지난7월에 전교조 서울지부에서 실시한 교원의 건강상태 설문결과가 발표되었다. 전교조 서울지부는 서울시내 초·중·고교 교사 4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7월18일부터 31일까지 실시한 교사들의 건강 상태를 묻는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2254명 중 42.5%인 869명이 음성 장애로 병원진료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22일 밝혔다.(자료: 전교조 서울지부 홈페이지 http://seoul.eduhope.net)

이번의 설문을 리포터도 작성했었다. 설문내용에 문항수가 많고 어떤 경우는 제대로 이해가 잘 안가는 문항도 있었다. 조사 취지는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이에 걸맞는 대책을 세우겠다는 내용이었다. 구체적으로 통계가 나오긴 했지만 대부분 교사들이 직감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정신질환이 의심되는 경우가 18%나 된다는 것은 납득이 되지 않는다. 1.8%라면 몰라도 18%는 다소 많다는 생각이다.

문제는 이를 통해 철저한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했던 부분이다. 문항수도 많고 분량도 많았던 설문지(응답하는데 10분정도 걸렸던 것으로 기억됨)였는데 이렇게 발표하기 위한 조사였었나 하는 의구심을 버릴 수 없다. 어떤 목적을 가지고 조사를 했다면 이에 대한 철저한 대책까지도 함께 발표했어야 했다. 그러나 전교조 서울지부에서는 단순히 '질환교원 보호 대책 즉시 마련하고 정기적으로 실태 조사를 해야 한다'라고 원론적인 대책만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한 설문지를 작성할때는 교사들의 관심이 높다. 그래도 뭔가 대책을 한두 가지쯤은 이끌어 낼 것으로 기대했었다. 그런것 없이 단순히 발표만 하고 원론적인 대책만을 주장하고 있다는 것은 실망스럽다. 7월에 조사를 했으면 그 자료를 교육부나 정부에 전달하여 구체적인 대책마련을 이끌어 냈어야 옳다. 앞으로 이와 관련하여 어떤 정책을 펼칠지 알 수 없지만 이왕에 시작한 일이라면 좀더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본다.

이번의 조사결과가 구체적 수치로 제시되었지만 교사들의 음성관련 질병이나 비염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가 많을 것이라는 것은 교사들 대부분 알고 있는 사실이다. 이미 알려진 부분에 대해 좀더 철저한 조사와 대책이 세워졌어야 했다. 너무 많은 부분을 한꺼번에 조사하여 발표하기보다 가장 중요한 부분에 관심을 가졌었더라면 훨씬 더 효과적인 대책이 세워졌을 것이다.

단순히 발표하고 원론적인 대책을 촉구하는 것은 교원들에게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 가시적인 대책을 원하기 때문이다. 또한 정신질환 관련한 결과를 재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교사가 정신질환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면 이는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좀더 객관성있는 조사를 통해 결과를 정확히 분석해야 할 것이다. 그래도 같은 결과가 나온다면 이에 대한 또다른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대안 없이 단순한 결과만을 발표하지 말고 교사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