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교실 선진화 사업으로 요즘 대부분의 초등학교 교실엔 컴퓨터가 설치돼 있다. 하루의 대부분을 교실에서 보내는 초등교사 중 일부가 업무 외 사적인 용도로 인터넷을 사용하다 문제가 되는 경우도 가끔 발견된다. 한국컴퓨터생활연구소가 2007년 신규 임용 예정 초등학교 교사 892명(여 716명, 남 176명)을 대상으로 올해 1∼3월 조사해 21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의 30.4%가 인터넷에 중독됐거나 중독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국민일보, 2006.09.24 11:49)
이 결과는 신규임용예정자에 한하고 있지만 실제로 교사들도 중독이 되어가고 있는 예를 국민일보에서 제시하고 있다. 국민일보에 따르면 "서울 모 초등학교 K 교사(25·여)는 교실에서 항상 인터넷 메신저를 켜놓고 있다. 쉬는 시간에 친구와 대화를 나누기도 하지만 수업시간이라도 받은 메시지에 바로 답을 해줘야 마음이 편하다. K 교사는 '가끔은 메신저가 수업에 방해가 된다고 느끼기도 하지만 메신저 사용을 자제하기가 어렵다'고 털어놨다"고 한다.
그동안 교단 선진화 사업으로 학교의 모든 교실에는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교사들도 1인 1PC시대가 열린지 오래다. 그동안 가끔씩 이에대한 역효과가 지적되기도 했다. 교사들의 인터넷 사용과 관련하여 업무와 관련없는 사용을 한다는 문제가 지적되긴 했어도 인터넷 중독과 관련한 문제가 제기된 적은 별로 없었다. 그런데 이번에 조사된 결과는 충격적이다.
교사가 되기 이전인 임용대상자를 상대로 했기 때문이다. 물론 이들이 인터넷 사용세대이긴 하다. 현재의 경력있는 교사들은 임용전에 그런 경험을 많이 하지 못했고, 최소한 15년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들은 학창시절에 인터넷을 사용해 본 경험이 별로 없다. 이들 경력있는 교사들보다 새로 임용되는 신규교사들에게 인터넷 중독의 우려가 더 높은 이유이다. 그렇기 때문에 임용전의 예비교사들게게 인터넷 중독의 우려가 높다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로 임용될 예정인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결과이기에 우려가 더 높게 느껴진다. 중, 고등학교와 달리 초등학교교사는 하루종일 교실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다. 교실과 교무실을 오가는 중, 고등학교 교사와는 다른 생활을 하기 때문이다. 그만큼 쉬는시간등에도 인터넷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그 영향이 학생들에게 직접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인터넷을 이용하여 처음으로 학습은 물론 정보검색을 시작하는 곳이 초등학교라고 볼때 교사들이 인터넷 중독에 노출되어서는 안된다. 인터넷세대들이 교사로 임용되고 있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인터넷 중독예방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신규임용예정자 연수과정에도 좀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신규임용예정자의 실태만 파악할 것이 아니고, 현직에 있는 모든 교사들에게도 좀더 신뢰있는 도구로 인터넷 중독 검사를 실시하여 철저한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현재는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인터넷 중독검사를 하도록 하고 있지만, 대부분 검사도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만들어 졌기 때문에 교사들에게는 별다른 효과를 얻기 어렵다. 문제가 더 커지기 전에 대책을 강구해야 할 문제가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