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5.5℃
  • 맑음강릉 22.9℃
  • 구름많음서울 26.7℃
  • 구름조금대전 27.3℃
  • 구름많음대구 24.7℃
  • 맑음울산 20.5℃
  • 흐림광주 25.1℃
  • 맑음부산 19.0℃
  • 흐림고창 24.6℃
  • 구름많음제주 25.4℃
  • 흐림강화 22.5℃
  • 구름많음보은 23.9℃
  • 구름많음금산 26.6℃
  • 구름많음강진군 22.2℃
  • 맑음경주시 23.1℃
  • 구름조금거제 19.9℃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진작부터 그랬어야 옳다

"'교육 현장에서는 교육의 원리를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면서 '그간 정부는 정치.경제적 이해관계에 따라 수없이 교육정책을 바꿔왔고 모든 분야에서 획일성을 강조해 왔지만, 교원과 교육현장을 옭아매는 정책으로는 우리나라의 미래가 없다'고 지적했다."

22일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회장 윤종건) 초청 간담회에서 밝힌 내용이다. 그는 또 '초.중.고 교실을 공부하는 곳으로 만들어 하향 평준화를 막고 상향 평준화로 가야한다'면서 '고교 평준화의 큰 틀을 유지하며 학교간.학교내 경쟁을 유도해야 하며, 개인의 비밀을 보장하되 학부모와 학생, 대학이 알고 싶은 교육정보를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연합뉴스 TV 2006-11-22 16:27]

그밖에 여러가지 정책을 밝혔지만 가장 마음에 드는 내용은 바로 '교육현장에서는 교육의 원리를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그동안 교육정책이 순수하게 교육논리로 입안되었던 적이 몇 번이나 있었는가. 거의 없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교육을 정치논리나 경제논리로 풀어나가기 위한 정책들이 더 많았었다. 국민의 정부시절에 이루어졌던 교원정년단축이 교육을 경제논리로 몰아갔던 대표적인 예라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현실이 되었다. 그 여파로 인해 올해 드디어 교대생들의 집단반발을 가져오는 결과를 낳았다.

이번의 교육자치법 개정도 마찬가지이다. 교육의 전문성과 순수성을 파괴하는 법안이다. 결국은 교육이 정치논리의 희생양이 되는 것은 아닌지 염려스럽다. 이렇게 이어진 순수한 교육정책의 부족함 속에서 교육계는 오늘도 염려스러운 마음을 가지고 하루 하루를 지내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볼때 박 전 대표의 '교육은 교육의 원리를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는 것을 정책의 기본으로 삼겠다는 것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이렇게 해야만이 교육의 자주성과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어떤 논리로도 교육을 이야기 할 수 없다. 교육은 교육논리로 풀어나가야 한다. 그래야만 정답을 구할 수 있는 것이다.

사실 박 전 대표의 발언을 떠나서라도 교육은 교육논리로 풀어나가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진작부터 그렇게 해왔어야 옳다. 당연하면서도 그동안 어느 누구도 신경쓰지 않았던 교육논리를 다시 생각해볼 기회를 갖는 다는 것은 분명 환영할 만한 일이다. 박 전 대표는 그 마음 변함없이 향후에도 지속적인 정책을 추진해 주었으면 한다. '교육은 교육논리로', 모두가 희망하고 있기 때문이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