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5 (금)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입학사정관제 확대, 사교육이 울고 있다

올해 본격 도입된 대학 입학사정관제가 치열한 입시 경쟁을 완하하고 공교육의 기능을 정상화시킬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게 한다. ‘교육과학기술부’와 대입업무를 주관하며 제2의 교과부로 불리는 ‘대교협’은 향후 2010학년도 입시에서 입학사정관제를 대폭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올해는 입학사정관제 전형으로 12개 대학에서 321명을 선발하지만, 현재의 고교 2학년이 지원하는 2010학년도 대입시에서는 입학사정관제 전형을 통해 무려 10배에 가까운 3,000명 정도를 선발할 계획이다.

입학사정관제 전형이 확대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자마자 대학 입시와 관련된 사교육 업체의 주가가 추풍낙엽처럼 떨어졌다. 그것도 단순하게 조정 국면이 아니라 침체가 장기화될 전망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는 입학사정관제가 획일화된 교과 성적보다는 학생 개개인의 잠재력과 소질을 발굴하여 이를 입시에 적극 반영하는 선진형 입시전형 방법이기 때문이다. 소위 개성이 없는 ‘점수따는 기계’보다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될성 부른 떡잎’을 찾는 제도다.

입학사정관제 전형은 미국을 비롯한 교육 선진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일반화된 입시제도로 대학이 교육 철학에 맞는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채용한 입학전문가(사정관)가 학생의 성적 외에 개인적인 환경과 잠재력․특기․적성․소질 등을 종합하여 합격여부를 판단한다. 세계 최고의 대학으로 불리는 미국의 하버드, 버클리, 스탠퍼드, MIT 도 입학사정관제 전형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일례로 미국 서부의 명문으로 불리는 버클리(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의 경우 100명 정도의 입학 사정관이 각자 담당하고 있는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학생, 학부모, 지역 등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수집하고, 제출된 자료(학생 개인, 가족정보, 교육이력, 과외활동, 학업적성 등)를 종합 분석하여 최종합격자를 결정한다. 일본 대학들도 ‘AO(Admissions Office) 입학제’라 불리는 입학사정관제와 유사한 전형을 운영하고 있다.

교육 선진국의 경우, 우리나라처럼 입시경쟁이 치열하지 않은 이유는 사실 입학사정관제의 역할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미국 최고의 명문이라고 불리는 하바드나 예일의 경우도 시험성적은 단순한 평가 요소의 하나일 뿐이다. 실제로 고등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하거나 SAT에서 만점에 가까운 점수를 얻고도 이들 대학에 탈락하는 수험생들이 허다하다. 내신성적이나 수능성적이 뛰어나야만 명문대학에 합격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대입 구조와는 판이하게 다르다. 그러니 입학사정관제를 치열한 경쟁 속에서 성장하는 사교육이 불청객으로 취급하는 것은 당연하다.

입학사정관제가 안고 있는 문제도 있다. 성적만으로 한 줄을 세우지 않고 잠재력, 소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는 명분은 훌륭하지만 수험생이나 학부모가 납득할 수 있는 공정성을 담보할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교육 선진국은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잘 이뤄져 대학의 선발권을 인정하는 풍토가 자리잡은 지 오래지만 우리나라는 객관화된 점수에 대한 신뢰도가 높기 때문에 이를 불식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고교와 대학의 실정을 꿰뚫고 있는 전문가 많지 않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대학입시에서 입학사정관제가 안착하기 위해서는 현재 수시에서만 선발하는 한계에서 벗어나 정시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적인 식견을 갖춘 사정관을 다수 확보해야 한다는 점에서 정부의 예산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치열한 경쟁으로 얼룩진 대입전형에서 입학사정관제가 서서히 둥지를 틀고 있는 것은 공교육의 발전과 사교육 억제를 위해서 고무적인 현상이 아닐 수 없다. 입학사정관제를 통하여 학교가 공부뿐만 아니라 학생 개개인의 다양한 소질과 특기를 계발하여 이를 상급학교 진학의 디딤돌로 삼아준다면 그것만으로도 교육적 가치는 충분하다. 입학사정관제 도입을 확대하기로 한 교과부와 대교협에 힘찬 응원의 박수를 보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