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진, 그 찬란한 슬픔의 땅에서 영랑을 만나다.
<모란이 피기까지는>이라는 시에는 유독 ‘ㅇ'과 ’ㄹ‘음이 유독 많다. 그래서인지 읽기에도 편하고 듣기에도 편하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 시는 우리에게 혹독한 시련을 안겨준다.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나는 비로소 봄을 여윈 설움에 잠길테요‘라고 노래하는 대목은 우리의 심성을 파스텔처럼 물들게 한다. ’오월 어느날 그 하루 무덥던 날/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버리고는/천지에 모란은 자최도 없어지고‘라는 대목은 우리의 정서를 톡톡 건드린다. 한마디로 영랑의 시는 편하면서도 불편한 시다. 정겨우면서도 낯설은 시다. 그러나 이 시의 백미는 뭐니 해도 말미에 있다. ’모란이 피기까지는/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테요/찬란한 슬픔의 봄을‘. 아, 이런 역설이 어디 있을까? 봄은 봄이로되 슬픈 봄이요, 그 슬픈 봄이 지독히도 찬란하다니.
마음 속 깊은 곳에서 올라오는 허망함. 모란이 떨어져 버리는 순간과 그 모란이 다시 피어나길 바라는 마음을 이다지도 애절하게 그려낸 것은 결코 없을 것이다.

강진군 남성리 탑동의 야트막하나 언덕에 자리 잡은 김영랑 생가. 때는 1월의 중순이었고, 남도 땅 강진과 해남에는 눈발이 흩날리고 있었다. 영랑 생가로 가는 길에는 그의 시가 켜켜이 묻어 있었다. 생가 입구에는 ‘내 마음 고요히 고흔 봄길 우에’라는 시비가 돌담을 등지고 아담하게 서 있었다. 그 시비를 지나 대문을 지나니 초가지붕들이 아련하게 나타났다. 눈을 맞는 사랑채와 안채의 초가지붕. 기와지붕보다는 훨씬 운치를 안겨주었다. 저 지붕이 기와였다면 영랑의 시는 구수한 맛을 결코 내지 못했을 것이다. 또한 영랑의 시에 담겨 있는 토속미가 발휘되지 못했을 것이다.
행랑채를 지나 영랑이 거닐었던 생가 마당을 거닐어보았다. 잘 정비된 생가의 마당 한쪽에 정갈한 우물터가 자리 잡고 있다. 참, 장하게도 버텨왔구나. 저 우물은 영랑의 유아기와 소년기를 말없이 지켜보았겠지. 저 우물가에서 영랑은 수많은 시의 운율을 생각했겠지.

그 우물을 등지고 대각선 방향으로 나아가니 ‘오-메 단풍 들것네’라는 시비와 함께 장독대가 눈에 들어왔다. 그 앞에 놓인 감나무 하나. 1930년의 어느 가을 무렵이었을 것이다. 누이가 장독을 여니 그 장독 안으로 감나무 잎이 하나 들어갔겠지. 그 잎을 바라보며 영랑의 누이는 저도 모르게 ‘오-메 단풍 들것네’라고 나직하게 읊조렸을 것이다. 누이의 청랑하면서도 놀람이 서린 그 목소리를 듣고 영랑은 바로 시상을 떠올렸겠지. 그리고 마당에 핀 모란을 보면서 시상을 떠올렸을 것이고, 집안을 싸고도는 돌담을 보고 시를 떠올렸을 것이다. 뒤뜰에 심어 놓은 동백나무와 대나무 밭은 또 어떠하며, 안채 마당에 심어진 은행나무는 또 어떠한가. 그 모두가 영랑의 시상이었다. 그 모두가 영랑 시의 소재요 주제였던 것이다. 하여, 영랑의 시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영랑의 시에 스민 그 고운 향기를 직접 맛보려면 영랑의 생가를 꼭 가보아야 하는 것이다.
실제로 영랑 시의 60편 정도는 이 생가의 풍경을 바탕으로 쓰여 진 것이다. 영랑은 일생동안 총 80편의 시를 남겼다. 그는 일제 강점기 동안 창시개명과 신사참배를 거부하며 생각에서 보냈는데 그 동안 60편에 달하는 시를 이곳 강진 생가에서 창작했다. 그래서 영랑의 생가는 그의 시 창작의 모티브인 것이다.

눈이 시리다. 하얀 눈이 사랑채와 안채의 초가 지붕에 작은 고드름을 만들고 있고, 그 고드름이 반사하는 빛이 눈동자의 각막을 피곤하게 쪼아댄다. 그러나 그 빛을 한참동안 받으니 더 없이 마음이 평화로웠다. 영랑의 시에 등장하는 ‘아’음과 ‘라’음이, 내리는 눈의 리듬에 맞춰 귓전으로 흘러오는 듯한 착각이 든다.
일제 시대 최고의 춤꾼이었던 이승희와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나누었던 영랑, 김윤식. 원래 본명은 채준이었다고 했다. 희문의숙시절, 홍사용과 정지용, 이태준 등에게 영향을 받은 영랑은 3.1운동때 강진에서 만세운동을 하다가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그의 시만 보자면 영랑은 소녀와 같은 감수성을 가진 조용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현실의 그는 적극적인 우파 정치인이었다. 이것도 하나의 역설이랄 수 있을까? 너무나도 고운 시를 쓰던 샌님 같은 이가 우파 정치인으로서 국회의원 선거에도 출마했다는 것이.

그러나 그가 어떤 정치적 행보를 걸었든지 간에 그의 시는 아름답다. 그리고 애틋하다. 우리 국어의 아름다움을 절절히 살린 민족의 시인이다. 그의 생가 이곳저곳을 보면서 때론 그가 너무 부럽다는 생각이 들었다. 생가의 마당은 훌륭한 정원이었다. 남도 땅, 그 찬란한 슬픔의 대지에 자리 잡은 고적한 정원. 이토록 고즈넉한 정원에서 그 누군들 시를 떠올리지 않을 수 있으랴.
만일, 영랑이 천수를 누려 저 생가에서 더 머물렀다면 에메랄드 같은 시가 우렁우렁 쏟아져 나왔을 텐데. 돌아가는 발길은 참으로 아쉬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