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학부모, 사회의 지대한 관심 속에 2006년 3월부터 월2회(둘째 주, 넷째 주) 토요휴업일이 시행되었다.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 개인의 행복과 삶의 질 제고, 가족 간 유대 증진 및 사회체험을 통한 바람직한 인성 함양의 계기로 삼는다는 취지로 시작된 토요휴업일은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음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현장에서의 애로도 없지 않다. 비 토요휴업일의 경우 이런 저런 이유로 학교에 나오지 않는 어린이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저학년일 경우는 더욱 그렇다. 비 토요휴업일인데도 체험학습신청서를 내고 아이들을 데리고 가족 간의 행사 등에 참여하느라 학교에 나오지 않는다. 부모는 행사 차 가야하는데 어린 아이를 마땅히 맡길 곳이 없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또한 종교적인 이유로 토요일은 아예 학교에 나오지 않는다. 부모들의 종교로 인해 어린이들이 학습권이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또 토요휴업일에 부모님께서 직장에 나감으로 미리 등교신청서를 내고 학교에 등교하는 아이들이 있는데 어떤 학부모님은 집에 계신데도 불구하고 아이가 집에서 놀기 심심해 하니 학교에 등교한 아이들과 함께 놀게 하기 위해 보낸다는 편지를 써 오는 사례도 있다.
비 토요휴업일 학교에 나오지 않았던 어린이들은 월요일 수업 시 학습의 연계가 잘 되지 않으며 종교적인 이유로 인해 지속적으로 결석하는 어린이들은 토요일 교과목에 대해 상당한 지장을 받고 있다. 또 가정에서 연령을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체험학습 운영으로 상당수의 어린이들이 월요일 수업시간에 피곤함을 느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짧은 시간동안에 무리한 여행계획을 세웠다가 일가족이 교통사고를 당한 사례도 있어 안전사고의 문제도 있다.
토요휴업일이 되면 무조건 먼 곳으로 체험학습을 가야 자녀에게 유익할 것이라는 학부모 인식의 제고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고 토요휴업일을 겨냥한 전국체험학습장의 인터넷을 통한 화려한 홍보도 한 몫 하는 것 같다. 이는 아이들의 수준에 적합한 체험이 될 수 있도록 교사와 학부모가 함께 노력해야 할 문제라고 본다. 교육과정 속에는 굳이 먼 곳에 가지 않더라도 가까운 곳에서 체험학습을 할 수 있는 요소들이 산재해 있다. 가정에서 아이들의 교육과정을 고려한 토요휴업일에 대한 철저한 계획으로 좀 더 유익하고 보람된 토요휴업일이 되었으면 한다. 또 앞서 말한 비 토요휴업일에 대한 일선 학교의 실태를 파악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 새롭게 제고해야 될 시점이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