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7 (목)

  • 구름많음동두천 25.5℃
  • 구름많음강릉 22.3℃
  • 흐림서울 24.5℃
  • 구름많음대전 27.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많음울산 20.7℃
  • 구름많음광주 27.0℃
  • 흐림부산 18.6℃
  • 구름많음고창 25.2℃
  • 흐림제주 22.6℃
  • 흐림강화 19.2℃
  • 구름많음보은 26.1℃
  • 구름많음금산 27.1℃
  • 맑음강진군 23.4℃
  • 구름많음경주시 24.8℃
  • 흐림거제 1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우리반 아이 이야기

‘흙손’이라는 동시를 4학년에서 배운다. 교사용 지도서에 시의 전문이 실려 있고 교과서에는 삽화만 있다. 교사용 지도서를 실물 화상기를 이용해 보여주면서 읽어주었다. 시적 감수성이 우수한 친구가 있나 싶어 “지금 이 시 한 번 듣고 외울 수 있는 사람”이라고 하니 ○○이가 욀 수 있단다.

“그래 나와서 한 번 외워봐”
그 작은 입에서 한 번 들은 시가 줄줄 노래가 되어 나온다.

흙 묻힌 손
뒤에 감추고 오다가
영감님을 만났네
“어른 앞에서 뒷짐을 지다니.
허, 고놈 버릇없군.“

흙 묻힌 손
뒤에 감추고 오다가
뒷집 애를 만났네.
“얘, 먹을 거냐? 나 좀 다오.”

흙 묻힌 손
뒤에 감추고 오다가
삽사리를 만났네.
“뒤에 든 게 돌멩이지?
달아나자 달아나“


언제나 두런 두런, 소근 소근, 왁자지껄 소란스러운 우리반이 갑자기 조용해진다. 모두가 숙여해진다. 글자 한 자 안 틀리고 외워내는 ○○이에게 보내는 무언의 응원이었다.

“○○이 스타킹 내 보내자”
선생님의 한 마디에 다시 예전으로 돌아온 아이들, ○○이의 마술에서 풀려난다.

○○이는 부모님과 같이 살지 못한다. 사연이 참 많은 아이다. 그리고 그 사연만큼이나 눈물도 많고 눈치도 빠른 아이다. 사회복지 시설에서 같은 처지의 아이들과 함께 목사님을 아버지라 부르며 산단다.

지난 토요일 학교에서 다른 일을 좀 보다가 한 시가 넘은 퇴근 길에 우연히 ○○이를 만났다.
“○○아 어디 갔다 오니” “헌이네 집에서 놀다가 집에 가요”
“점심 먹었니”
“아니 배 안고파요”
배 안 고프다는 이야기만 한다.

‘점심 시간이었는데 왜 자식 친구한테 밥을 먹여서 보내지 않았을까?’
많은 생각을 하게 하였다.
“그럼 집에 들어가면 밥 챙겨주니”
“아니 배 안 고파요”

때가 지나면 밥을 챙겨 달라는 말을 하기가 어려운 모양인지..... 참 가슴이 에려온다. 눈치가 너무 빤한 아이, 아무것도 모르고 응석 부리기에도 바쁜 나이에 눈치를 살펴야 되는 아이. 네 가슴에 상처를 어떻게 할 거나? 네 아픔을 어떻게 할 거나? 이글을 쓰는 순간에도 ○○이 얼굴이 오버랩되면서 눈시울이 붉어진다.

그런 아이가 한 번 들은 동시를 그냥 외워댄다. 아이고 ○○아!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