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5일(토) 17:00 수원여자대학 개교 40주년 기념 교수초청음악회를 찾았다. 프로그램을 보니 클래식인데 우리 가곡과 남성중창 4곡 정도만 눈에 익지 나머지 곡은 낯설다. '에이, 지루하고 재미없겠구나!' 혼자 중얼거린다.
그래도 대학 방송국 보도부장 출신이고 음악을 좋아하여 학창시절 클래식 음반도 백여 장 이상 구입하여 시간만 있으면 해설서를 보면서 음악적 소양을 높이던 필자이다. 그런데 프로그램 반수 이상을 모르다니…. 이건 말도 안 된다. 자존심에 관한 문제다.
그러나 실제 공연을 보니 그게 아니다. 레하르(F.Lehar)의 오페라, 도플러(A.F.Doppler)의 플룻 연주곡, 몬티(V.Monti)의 바이올린 곡이 귀에 익는다. 멜로디를 흥얼거릴 정도다. 그 동안 내가 클래식을 멀리 했었나 보다. 학창 시절 익힌 곡은 그리 쉽사리 기억에서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기악곡에서는 출연자들의 자신감 그리고 연주 기교와 거침없는 테크닉에 관중들은 푹 빠져든다. 테너, 소프라노 독주에서는 청중을 압도하는 힘, 박력이 가슴에 와 닿는다.
남성중창에서는 재미와 웃음을 준다. '축배의 노래'에서는 여성을 차지하려는 모습이 우스꽝스럽고 춤 파트너를 잃은 출연자는 객석으로 내려와 청중과 춤을 춘다. '여자보다 귀한 것은 없네'를 부를 때는 즉석에서 여성을 무대 위로 올려 주제를 살린다.
'오, 해피데이'에서는 선글라스를 준비했다. 짝짝이 안경도 만들어 관객에게 웃음을 준다. 앵콜곡은 두 곡이나 준비했다. '케사라'를 부르며 일부러 핸드폰을 받는다. 그리고 무대를 어둡게 만들어 관객들과 함께 핸드폰 물결을 유도하여 호흡을 맞춘다.
공연이 끝나면 팬 사인회를 갖는다. 수요자를 위한 서비스다. 초등학생들은 그 사인을 받느라고 길게 줄을 서 있다. 음악 가족으로 끌어들이는 좋은 방법이다. 음악 인구 저변 확대에 큰 도움이 된다.
출연 교수진을 보니 20대(?)에서 40대까지로 보인다. 50대는 보이지 않는다. 대학 강단에 서는 교수 연령이 낮아졌나 보다. 언제부터 수원여대가 이렇게 음악부문에 훌륭한 교수진이 있었는지 미처 관심을 가지지 못하였다.
개교 40주년이면 1969년에 대학이 문을 연 것이다. 필자의 중학교 1학년 때다. 40년간 수원지역에서 유수 여성인재를 꾸준히 배출한 것이다. 이것을 알리기 위해 삼호아트센터(이사장 이윤희)는 음악회를 성사시키고 아트홀 장소도 제공하였다.
월 1회, 초대권을 받아 아내와 함께 음악회를 찾는 필자는 행복하기만 하다. 음악이 없다면 우리네 사는 세상은 얼마나 삭막할까? 음악은, 아니 예술은 우리의 삶을 풍부하게 해준다. 정신을 살찌워 준다. 학창시절 음악을 가까이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필자도 그 영향을 받아서인지 교사 때에는 학교신문을 월 1회 만들면서 '이달의 팝송' 고정란에 악보와 가사, 번역본을 게재하고 방송실에서 음악을 들려 주도록 하였다. 교장 때에는 '음악과 함께 하는 취임식' 'WMF와 함께 하는 행복+행복 콘서트'를 개최하고 입학식과 졸업식에는 음악 공연을 넣었다. 당연히 행사의 품위가 올라간다. 격조 높은 행사가 되었고 교직원과 학생, 학부모의 반응도 좋았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행사, 재미가 있어야 한다. 즐거워야 한다. 함께 참여할 수 있으면 더욱 좋다. 예술이 함께 하면 행복해진다. 학교는 음악회를 비롯해 각종 예술공연에 학생들을 인도해야 한다. 그것이 그들에게 행복으로 가는 길을 알려주는 한 가지 방법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