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 양혜왕 장구상 6장을 읽으면서 몇 가지 교훈을 얻게 된다. 우선 배우는 이들은 자기가 배우는 과목에서 예리한 질문을 할 줄 알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양의 혜왕의 아들인 양왕(襄王)을 하루는 맹자께서 만났다. 양왕을 만나 뵈었을 때 맹자께서는 놀라워하셨다.
왕답게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멀리서 보아도 임금 같지가 않았고 가까이서 뵈어도 두려운 감이 없었다. 그러나 그분의 질문을 듣고 깜짝 놀라웠다. 예리한 질문이었다. 보기는 왕처럼 보이지 않았지만 질문의 내용은 왕으로서의 자격이 충분하였다.
갑자기 양왕은 질문하였다. 天下惡乎定(천하악호정)-'천하는 어디로 정착됩니까?' 하고 물으셨다. 또 孰能一之(숙능일지)오 : '누가 통일할 수 있을까요?'라고 물으신 것이다. 배우는 이들이 항상 가져야 할 것이 양왕(襄王)과 같이 질문하는 자세이다.
배우는 이들은 아는 것보다 모르는 것이 많다. 그것을 알기 위해서는 자꾸 물어야 한다. 예리하게 질문해야 한다. 선생님이 깜짝 놀랄 정도로 질문을 해야 한다. 그래야 자기가 알고자 하는 바를 깨우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한 가지 배울 점은 겉으로 보이는 모습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외모가 중요하지 않고 중심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학자답게 탁월한 맹자를 만나는 왕으로서는 왕의 품위를 유지하기 위해 왕복을 입으며 왕관을 쓰며 주위의 신하들을 세우며 누가 봐도 왕이라는 것을 뽐내고 싶어할 것 아닌가? 그런데 양왕(襄王)은 그러하지 않았다.
위엄을 나타내지 않았다. 왕이 지니는 두려운 감이 없을 정도로 편안하게 해 주었다. 그야말로 왕의 겉모습에는 전혀 신경을 쓰지 않았다. 형식을 중요시하지 않았다. 내용을 중시하셨다. 외모를 중시하지 않았고 중심을 중시하였다.
배우는 이들도 그러해야 하겠다. 겉으로만 멋을 부리려고 하는 것은 옳지 않다. 머리를 꾸미고 얼굴을 꾸미고 옷을 꾸미고 한다고 학생 모습이 살아나는 것은 아니다. 학생은 공부하는 것이 본분이다.
학생들은 자주 두발문제로 말썽을 일으키기도 한다. 양왕(襄王)에게서 배워야 한다. 외모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비록 보기에는 아름답지 못하다 할지라도 내면을 잘 닦아나간다면 참다운 학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는 더욱 빛이 날 것이다.
또 한 가지 배울 점은 곡식의 싹이 칠팔월경에 가뭄이 되면 싹이 마르게 되어 있다. 싹이 마르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물이 필요하다. 선생님들은 학생들의 싹이 마르게 하지 않기 위해 물을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해야 할 것 같다.
한발이 되면 싹이 말라갈 때 가장 필요한 것이 물이다. 하늘에서 내려주는 비다. 하늘이 뭉게뭉게 구름을 만들어 좍 비를 내려주기를 고대한다. 뭉게뭉게 구름을 만들어 많은 비를 내려주면 싹은 힘차게 살아날 것이다.
이와 같이 우리 선생님들은 天油然作雲(천유연작운)-하늘이 뭉게뭉게 구름을 만들다)하듯이 油然(유연)히 구름을 만드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래야 비를 만들 수가 있지 않은가? 油然(유연)히, 뭉게뭉게 구름을 만들어 싹이 다시 살아날 수 있도록 큰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沛然下雨(패연하우)하면 : 좍 비를 내려 주면 말라가던 싹이 다시 살아날 것 아닌가? 沛然(패연)히 비를 내려준다는 말은 많은 비를 내려준다는 말이다. ‘沛然(패연)히’ 큰비를 내려쏟는 것을 말한다. 싹이 충분히 힘차게 살아날 수 있을 정도로 내려준다는 말이다.
이와 같이 선생님들이 油然(유연)히 구름을 만들어 ‘沛然(패연)히 비를 내려주는 역할을 하면 시들어가는 싹과 같은 배우는 이들이 힘차게 살아날 것이다. 苗浡然興之矣(묘발연흥지의)니라 : 싹은 힘차게 살아날 것이다. 浡然(발연)히 자라날 것이다. '浡然(발연)히'란 뭉클하게 일어나는 모습을 말한다. 힘차게 살아나는 모습을 말한다. 선생님들은 학생들이 浡然(발연)히 일어나기 위해 油然(유연)히, 沛然(패연)히 많은 비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