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학이편에 이런 말이 나온다. “巧言令色(교언영색)이 鮮矣仁(선의인)이니라”라는 말이다. 이 말은 공자께서 하신 말씀이다. ‘말을 교묘하게 꾸미고 얼굴빛을 좋게 지어내는 사람 중에는 어진 이가 적다.’는 뜻이다.
巧言(교언)의 巧(교)는 ‘예쁘다, 아름답다, 약삭빠르다, 작은 꾀, 교묘하게’의 뜻을 가지고 있다. 그러니 巧言(교언)이라는 말은 순수하게 예쁜 말, 아름다운 말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교모하게 꾸민 말, 번드르르하게 잘하는 기교 섞인 말이라는 뜻이 된다.
공자께서는 巧言(교언)을 가지고 있는 자는 仁하지 못하다고 하셨다. 진심이 없는 말, 남의 환심을 사기 위해 아첨하는 교묘한 말을 하는 사람은 仁한 사람이 아니라고 하셨다. 말을 잘하는 것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다. 아름답게 꾸며 말하는 것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다. 문제는 그 말 속에 진정성이 없는 것이다. 말과 마음이 다른 것이다. 속과는 정반대의 말을 하면서 비위를 맞추는 것이다. 이런 사람을 두고 공자께서는 仁한 사람이 아니라고 하셨다.
말에는 진실이 있어야 한다. 말 속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 아첨하는 말은 안 된다. 허황된 말도 안 된다. 허풍 떠는 말도 안 된다. 알랑거리는 말도 안 된다. 오직 진실된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말이어야 한다. 말이 서툴더라도, 유창하지 않더라도, 말이 적더라도 진실한 마음에 우러나오는 말이면 그게 진정한 아름다운 말일 것이다. 거짓을 포장하는 말을 공자께서는 경계하신 것이다.
아무리 포장을 잘해도 거짓된 말이 진실이 될 수가 없다. 아무리 아름답게 포장하더라도 진실된 말이 아니면 값이 없는 것이다. 말솜씨가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속의 생각과 일치된 내용이 아니면 그 말은 아름다운 것이 되지 못하는 것아다.
令色(영색)의 令도 여기서는 ‘아름답다, 좋다, 착하다’의 뜻으로 사용된 것이다. 그러니 令色(영색)은 아름다운 얼굴, 좋은 얼굴, 착한 얼굴의 뜻이 된다. 앞의 巧言과 令色은 같은 수식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巧言이 아름답게 말을 꾸미는 것이라면 令色은 아름답게 얼굴을 꾸미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얼굴도 마찬가지다. 진실된 얼굴이 되어야지 가면을 쓰는 얼굴을 가져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겉과 속이 달라서는 안 됨을 말해주는 것이다. 공자께서는 겉 다르고 속 다른 사람을 미워하셨다. 그런 사람을 인정하지 않으셨다. 그런 사람을 仁한 사람이라고 하지 않으셨다.
공자께서는 좋은 사람이 된다는 것은 仁한 사람이 되는 것인데 仁한 사람이란 겉과 속이 같은 사람이라고 하셨다. 겉과 속이 다르면 仁한 사람이 될 수 없는 것이다. 속은 시커먾는데 겉만 하얗게 하면 되겠나? 그런 사람은 공자께서는 싫어하신 것이다. 공자께서는 말재주가 뛰어나고 표정을 보기 좋게 꾸미는 사람 중에 어진 사람은 드물다고 하셨다. 보지 못했다고 하셨다. 거의 없다고 하셨다.
배우는 이들은 실력도 있어야 하고 사람도 좋아야 한다. 능력도 있고 바른 태도를 지녀야 한다. 사람이 나쁘면 실력이 빛을 보지 못하는 것이다. 사람이 진실되지 못하면 능력이 빛이 나지 않는 것이다. 사람다운 사람이 되려면 겉과 속이 같아야 하는 것이다.
말을 잘하고 얼굴을 반듯하게 꾸미는 것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다. 마음 속에 있는 것과 입으로 나오는 것이 다른 것이 나쁜 것이다. 마음 속에 있는 것과 얼굴에 나타나는 것이 다른 것이 문제인 것이다. 그것이 일치되게 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거짓으로 말을 꾸미지 말고 얼굴을 꾸미지 말고 아첨하지 말고, 거짓말하지 말고, 허풍 떨지 말고, 가면 쓰지 말고, 속에 없는 말 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보이는 자가 仁한 사람이요 진실된 사람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