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8일 일간지에 주목할 만한 기사가 실렸다. 포스텍(구 포항공과대학) 화학과 김광수 교수를 비롯한 민승규, 조연주, 김우연 연구팀이 그래핀 나노리본과 DNA 염기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2차원적 전자 전도도를 측정하는 초고속 DNA 해독법을 발표했다는 보도였다. 이 연구결과는 나노기술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온라인판을 통해 발표되기도 했다.
이 방법은 DNA 분석에 최소 몇 주가 걸리던 기존 방식과는 달리 인간 게놈 전체를 1시간에서 최소 수분이내에 해독해 DNA 정보 분석 연구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 분야는 2003년 인간 게놈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선진국들이 막대한 연구비를 투자해 경쟁적으로 연구하고 있고 여러 난치병이나 희소병 치료에도 필수적인 분야로 생명과학에 변혁을 예고하고 있다. 이 내용에 대한 신문 보도를 보면 표기에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있었다.
○ 포스텍 연구팀 ‘인간게놈 1 시간 내 해독’(동아일보). ○ 인간 지놈지도로, 완성에만 수년의 기간과 10억 달러(약 1조1000억원)의 예산이 들었다(중앙일보).
‘Genom’은 유전체를 뜻하는 외래어다. 이에 대한 외래어 표기는 ‘게놈’이다. 이는 2000년 5월 30일에 있었던 제33차 정부 언론 외래어심의공동위원회에서 표기를 ‘게놈’으로 확정한 바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이렇게 하고 있다. 아래 기사도 역시 2월 8일 신문에 보이는 내용이다.
○ 미식축구 슈퍼볼 워드의 꿈… 그린베이 태클에 스러지다(동아일보). ○ 제45회 슈퍼볼 MVP로 뽑히며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한국일보). ○ 하인스 워드, 세 번째 수퍼보울 우승 꿈 좌절(중앙일보).
‘슈퍼볼(Super Bowl)’을 표기하면서 ‘슈-’와 ‘수-’의 경우가 등장한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먼저 결론을 말하는 것이 논리가 명확해진다. 현재 ‘super-’의 한글 표기는 ‘슈퍼-’로 하고 있다. 이는 발음[su:-] 또는 [sju:-] 중 널리 쓰인다고 판단되는 [sju:-] 발음을 기준으로 하여 ‘슈’로 적도록 한 것이다.
‘슈퍼(super)-’를 ‘수퍼’라고 우겨대는 데는 ‘super’의 ‘u’ 발음 때문이다. ‘u’는 발음이 ‘유’도 되고 ‘우’도 가능하다. 그러다보니 ‘슈퍼’와 ‘수퍼’를 놓고 고민하게 된 다. 특정 언론사만이 외래어 표기 규정을 따르지 않고 ‘수퍼-’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아마도 미국식 발음 ‘수퍼-’가 맞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하지만, 우리의 외래어 표기(최근에는 미국식 발음을 많이 채택하도 한다.)는 전통적으로 영국식 발음을 취해왔다. 여기에 따라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표기의 문제는 고도의 학문적 배경이나 가치관의 판단이 따르지 않는 단순한 문제다. 이는 우리가 편리한 언어생활을 하기 위해 정한 규칙일 뿐이다. 언론사가 굳이 독단의 표기를 주장할 필요가 없다.
‘볼(Bowl)’을 ‘보울’이라고 표기한 것에 대해서도 언급해야겠다. 이는 더 간단한 문제다. 외래어 표기 규정에 의하면 중모음은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되, [ou]는 ‘오’로 적는다. 이런 이유로 ‘boat’를 ‘보트’라고 적는다. 마찬가지로 ‘Bowl’은 ‘보울’이 아니라 ‘볼’이다.
올해 졸업식을 앞두고 언론 매체에서 보도가 잇달았다. 졸업식의 폭력적 뒤풀이를 더는 방치할 수 없다는 국민적 여론이 높아지면서 경찰도 나서기로 했다. 이에 대한 소식을 전하는 인터넷 매체에서 ‘뒤풀이’를 ‘뒷풀이’라고 잘못 쓰고 있다. 이는 뒤의 음절이 거센소리(ㅍ)이기 때문에 사이시옷 표기가 필요 없다. ‘그리고 졸업식을 기다린다. 그리고 멋지게 치룰 것을 마음속으로 다짐한다’라고 쓴 글을 보았는데, 여기에 ‘치룰’은 바른 표기가 아니다. ‘치르다’가 기본형이다. ‘치를’이라고 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