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8 (금)

  • 맑음동두천 29.0℃
  • 맑음강릉 29.3℃
  • 맑음서울 30.0℃
  • 맑음대전 31.6℃
  • 맑음대구 32.9℃
  • 구름조금울산 25.1℃
  • 흐림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5.4℃
  • 구름많음고창 27.3℃
  • 흐림제주 25.8℃
  • 맑음강화 26.2℃
  • 맑음보은 30.5℃
  • 구름조금금산 29.7℃
  • 구름많음강진군 26.3℃
  • 구름많음경주시 27.9℃
  • 구름조금거제 24.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팀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

요즘 모든 직장의 조직이 기능중심의 조직에서 단위업무 중심의 팀 단위로 옮겨가고 있다. 팀으로 구성한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팀 조직은 소수의 사람들로 구성되어 구성원 간에 긴밀하게 상호 작용을 가능케 하고 팀조직의 유연성을 보장한다는 것이다. 또한 팀조직은 기존의 부서 중심의 조직보다 비효율과 낭비요인을 줄이고 새로운 환경에 융통성 있게 대응하기 위한 조직에 기반한 것이다.

이러한 팀 조직의 성공요인은 새로운 리더십 빌휘, 조직의 공유가치, 명확한 목표제시, 능력과 특성에 맞는 역할 분담 등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팀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이라고 할 수 있다.

팀 조직 전문가인 MacMillan은 높은 성과 팀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으로 개방적이고 솔직한 커뮤니케이션을 지적한 바 있다. 개인과 개인, 조직과 개인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서로의 생각과 의견을 자유롭게 주고받아 업무개선 뿐 아니라 팀의 유대감을 발휘함으로써 팀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팀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높이려면 조직업무의 구조개선이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교육 등이 필요하지만 가장 먼저 팀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개선되어야 한다. 팀의 분위기는 팀 리더에 따라 다르다. 팀 리더의 민주적이고 인간적인 리더십은 팀원들을 허용적인 직장 분위기로 상사와의 편안한 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는 자유로운 대화마저 사라지게 한다.

조직 내에서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되려면 먼저  팀 리더와 구성원, 구성원들 간의 허심탄회한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는 대화가 수직적이 아니라 수평적인 대화 분위기가 형성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팀원 개개인의 생각이나 견해를 자연스럽게 꺼낼 수 있는 대화 분위기는 리더와 팀원, 팀원 간의 대화가 상하의 관계를 떠나 동료와 같은 편안한 관계를 말한다.

둘째, 팀 리더는 구성원들의 의견을 언제든지 경청하고, 이들의 의견을 팀의 의사결정에 적극 반영하겠다는 태도와 자세가 구성원들로부터 인식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팀원들은 자신들의 의견을 들어주고 배려해 줄 때 충성심을 발휘하게 된다. 그러므로 팀 리더는 항상 팀원들에 대한 관심과 요구를 살피고 이를 이해하고 도와줌으로써 팀원들이 조직업무에 적극 참여하고 소통하여 조직의 헌신력을 끌어 올릴 수 있는 것이다. 

셋째, 동료들 간의 편안한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공간과 시간을 제공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즉, 상호간 별 부담 없는 대화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줌으로써 보다 인간적인 관계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다. 편안한 인간관계는 조직 내 공식적인 관계보다는 비공식적인 관계를 통하여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넷째, 팀 리더는 팀원들의 대화를 가로막거나 내용을 비판해서는 안 되며, 팀원들의 이야기를 끝까지 들어 주고 그 내용을 조직 성자에 피드백 할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 팀원들의 대화에 끼어들거나 비판적인 의견은 팀원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줄이게 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팀원들의 여러 가지 이야기 속에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견할 수 있지만 때론 조직에 대한 불평이나 불만, 그리고 구성원들 간 갈등을 유발할 수도 있다. 갈등도 리더가 적절한 수준을 고려하여 잘 관리하고 해결해 준다면 오히려 조직에 활력을 불어 넣어줄 수 있고 구성원들로 하여금 보다 창의적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팀 리더는 구성원들 간의 갈등을 적절히 관리함으로써 그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팀 내에서 대화와 토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조직 분위기를 조성해 줘야 생산적인 갈등관리를 할 수 있다.

학교의 팀 리더는 학교경영자와 교사 간의 역할을 하는 부장교사라고 할 수 있다. 부장교사는 교장이나 교감, 타 부장들과 원활한 접촉으로 교육정보를 공유하고 학교 교육활동의 주요 의사결정의 내용이나 흐름을 명확히 인지하고 이를 팀원들에게 신속하게 제공해 주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팀원들은 팀 업무의 내용이나 그 실현 가능성을 예견할 수 있어 업무의 추진력과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모든 학교업무의 현황을 인식하고 파악함으로써 주인의식과 책임감을 갖고 적극적으로 커뮤니케이션에 참여할 수 있다.

이처럼 팀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강화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팀 리더가 혼자 고민한 아이디어보다 다른 구성원들과 원활한 케뮤니케이션을 통해 창출된 아이디어가 더 나을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인다면 보다 쉽게 학교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