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제목 앞에 ‘세계 최고의 학력을 낳은 핀란드 교육, 교실에서부터 시작된다!’라는 수식어가 있다. 이 수식어처럼 이 책의 주된 내용은 핀란드의 교실 수업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일본의 핀란드 교육전문가인 후쿠타 세이지(福田誠治, 츠루문과대학 문학부 비교문학과) 교수는 핀란드의 교육 장면을 사진과 함께 상세히 기록했다. 약력에 의하면 그는 수십여 차례 핀란드를 방문하고, 핀란드 교육 성공의 비결을 연구한 핀란드 교육전문가다. 저자는 책에 핀란드 교육이 이뤄지고 있는 수업 장면을 생생하게 소개하고 있다. 가감 없이 교사는 물론 학생들의 수업 태도까지 독자에게 생중계하고 있다.
여기에 박재원 비상교육 공부연구소장의 해설이 곁들어져 있고, 대한민국 교육과의 비교가 첨부되어 있다. 이 책은 단순한 번역을 넘어 한국적 상황에 맞는 핀란드 교육을 독자에게 제안하고 있다. 또 마지막 5장에서는 해설자가 핀란드 교육이 현실적으로 우리에게 적용 가능한지, 대한민국 교육의 희망은 무엇인지에 대해 진지하게 성찰하고 있다.
핀란드 교육은 우리나라와 많이 다르다.
핀란드식 교육제도의 특징을 정리하면 밑바닥을 끌어올리되 위쪽은 제한 없이 개방하는 것이다. 핀란드 사람들은 이렇게 말한다. “핀란드의 학교는 잘못하는 아이들을 끌어가긴 하지만 잘하는 아이들은 그냥 둡니다. 왜냐하면 잘하니까요.” 이것이 바로 핵심이다. 자율적으로 배우도록 키우면 아이들은 교사나 어른들을 뛰어넘어 뻗어나간다. 물론 말 그대로 스스로 배울 수 있게 바탕을 만들어주어야 하지만. 어쨌든 이 방법은 잘하는 사람에게 매우 효과가 좋다(p. 54).
핀란드는 전체 학생의 65%가 고등교육기관에 진학하는 고학력 사회이다.
모든 학교의 수업료는 무료이다. 9학년까지 기초학교에서는 워크북이나 노트 등 교재와 학용품도 무상으로 지급한다. 또한 고등학교까지는 급식비도 무료이다. 통학을 위한 교통비나 하숙비도 지급된다. 대학의 경우 급식비는 유료지만 학생자치회에 가입하면 생필품을 시가보다 싸게 구입할 수 있다.(p. 34)
교사의 사명은 아이들을 지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학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수학을 배우는)아이들을 가르치는 사람이 수학 교사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과목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과목을 배우는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이 교사의 사명’이라는 뜻이다. 즉, 지식이나 기능의 전달만이 아니라 학습하고 발전하는 인간을 키우는 것 자체가 교육의 목적이고 교사의 일이라는 것이다. 스스로 배우는 인간을 키워내는 것은 이런 교사의 자세 덕분에 가능하다(p. 206).
핀라드 교실에서 가장 충격적인 장면은 ‘흥미를 가지고 열심히 수업을 듣는 학생은 네 명, 재잘거리며 수업을 그냥 따라가는 학생은 여덟 명, 때때로 수업에 참가해서 반응하는 학생은 다섯 명, 큰 소리로 떠들기만 하는 학생은 한 명(p. 227)’이다. 큰 소리로 떠드는 학생, 심지어 수업 시간에 노래를 부르는 학생들을 도대체 어떻게 판단해야 하나? 무질서와 방종이 난무하는 교실 분위기를 어떻게 이해하나? 이 상황은 핀란드 교실에서 지극히 정상적인 모습이라고 한다.
핀란드 선생님은 학습 의욕이 없는 아이들을 위한 노력이 진지하다. 기다려주고 이해해 준다. 그것은 일종의 자율권이다. 이것이 핀란드 교육의 우수성이라고 한다. 핀란드에서는 16세까지 시험을 치러 개개인을 비교하지 않는다. 교실에도 교사의 편의가 아니라 학생의 의욕 증진과 동기부여를 위해 최선을 다한다.
우리는 위와 같은 상황에서 선생님이 강압적인 통제를 한다. 획일적으로 지도하고 학생의 행동을 제압한다. 한국은 공부 잘하는 학생에게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개인적 성공 요인과 사회적인 성공 가능성을 혼동하여 아이들을 다그친다. 이러다보니 우리 사회는 경쟁이 주인이 되고 교육은 하인이 되어버린다.
한국과 달리 핀란드는 이미 개인별 맞춤형 수업을 교실 현장에서 구현하여 성공을 거두고 있다. 핀란드에서는 교사를 전문가로 육성하고 교사가 수업에만 전념할 수 있게 하는 학부모나 행정기관도 교사를 지원하게 했다. 핀란드 교사들은 학생의 성적 향상에 대한 기대감에 충만해 있다. 교사들은 잡무도 없이 학생들의 성적 향상을 위한 노력과 준비에 여념이 없다. 핀란드는 모든 권한과 책임이 모두 학교에 부여되어 있어 학교가 모든 것을 결정한다. 그래서 학생의 성적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역사적으로 보면 핀란드와 한국은 몇 가지 점에서 비슷하다. 강대국의 식민지를 거쳐 좌우의 대립으로 인한 극심한 민족 내 갈등과 대립의 역사를 공유하고 있다.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귀족학교와 평민학교가 분명하게 구분되는 시기를 거쳐 평준화 정책을 시행한 역사도 비슷하다고 한다. 영어 교육에서도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핀란드가 1980년대 초반까지 우리나라와 다를 바 없는 비실용적인 영어 교육을 해왔다.
핀란드가 아무리 우수해도 우리나라가 핀란드의 교육방식을 그대로 옮겨올 수는 없다. 핀란드는 인구가 500여만 명이고, 교실 환경도 다르다. 기타 조세 부담률 등 여러 제도가 다른 상황에서 교육 방식도 흉내 낸다고 해결이 되지는 않는다.
특히 책에서 제시되고 있는 일부 핀란드 교육은 강한 저항감마저 든다. 우리의 현실과 동떨어진 이야기다. 무턱대고 아이들을 위한다고 교육이 되는 것은 아니다. 교육은 의도적인 과정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많기 때문에 교사의 통제는 어느 정도 필요하다.
그러면서도 이 책에서 우리가 배울 것이 있다. 그것은 교실 분위기다. 교실에서 교사가 학생을 이해하고 개별적인 교육을 하는 방식은 우리에게 던져주는 시사점이 크다. 학생 모두에게 골고루 좋은 교육을 시키는 것은 배울만하다. 뒤처지는 학생을 끝까지 끌어올리면 학생 간의 격차가 줄어들고 학업성취도도 높아진다.
아울러 핀란드 교사는 모두 석사 이상이다. 교육관련 학과의 경쟁률도 높다. 그리고 이것이 교사의 자부심으로 연결돼 양질의 교육으로 이어지고 있다. 교사의 사회적 대우도 우리나라보다 꽤 높은 편이다.
늘 이야기하지만 교육의 해법은 간단하다. 교실에서 찾아야 한다. 교사와 학생이 즐거운 학교생활을 할 수 있는 분위기가 필요하다. 지금 우리나라 학교는 참으로 참담한 광경이다. 행정부에서 학교를 통제하다가 다시 정치권이 학교에 개입하면서 전통적인 학교의 모습을 잃어버렸다. 학교는 무질서하고 교실은 난폭해졌다. 교육 정책은 정치적 냄새를 강하게 풍기면서 교실은 교육의 논리를 잃었고, 학생은 삭막해졌다.
핀란드는 현재 한국에서 제기되고 있는 교원평가제가 이미 폐지되었다. 정치권은 착시 현상에 빠져 교원 평가를 강행하고 있는데, 무엇 때문에 하는지 명확한 근거도 없다. 교원평가가 경쟁력을 키운다는데 증명되지도 않았다. 교원평가는 일부 교원의 일상성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가 내놓은 안이다. 그러나 이것이 우리 교육 전체를 망쳐놓고 있다. 교각살우(矯角殺牛)라는 말이 실감난다. 제발 뿔만 바로 잡는 정책이 만들어지기를 간절히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