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수원의 보훈교육연구원 강당에는 '엄마와 함께 하는 보훈 문화교실'이 열리고 있다. 멀리 제주도를 비롯 전국에서 모인 초등학교 4~6 학년 어린이와 어머니 171명이 2박3일 합숙을 하며 나라사랑을 공부하고 체험을 통해 익히고 있다.
이 문화교실은 자라나는 세대와 가정교육의 주역인 어머니들이 선열들의 애국정신을 되돌아보고 그 현장을 탐방함으로써 애국정신을 일깨워 올바른 국가관 형성과 보훈문화 확산을 도모하고자 나라사랑 교육전문기관인 보훈교육연구원(원장 오일환)이 주관을 하고 있다.
필자는 여기서 '엄마와 함께 떠나는 나라사랑 여행' 강의 2시간을 맡았다. 어머니와 자녀, 배경지식이 차이가 나 일방통행식 강의는 교육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싶다. 그렇다면 어떻게? 강사 사전 협의에서 아이디어를 내놓았다. 노래와 게임, 퀴즈를 이용한 강의 진행. 흥미도 불러 일으키고 긴장감이 감도는 시간을 만들 수 있다.
담당 첫 시간에는 '당신의 이름은 대한민국입니다', 고등학생들이 만든 '안보 여행' 비디오 시청 그리고 느낀 점 발표다. 6.25 가 얼마 지나지 않아서 또 작년 천안함 폭침 피격사건(3.26)과 연평도 포격도발(11.23) 관련 내용이라 이목이 집중된다.
이제 빙고게임, 시간에 맞게 25빈칸을 16칸으로 변형하였다. 여기서 인물 알아맞추기 문제 하나. 힌트가 점점 자세히 주어진다. ①이 분은 병을 고치는, 환자를 치료하는 그런 의사가 아닙니다. ②나라를 위해 정의로운 일에 용감하게 뛰어들어 목숨믈 바친 분입니다. ③도시락 폭탄과 관계있습니다. ④일본왕의 생일인 1932년 4월 29일 중국 상하이 공원에서 폭탄을 던졌습니다. 어린이와 엄마들은 ③단계에서 답을 알아 맞춘다.
한 문제 더. 이 날은 '어떤 날'일까요? ①24절기 중 망종과 관계 있습니다. ②오전 10시에 추모 싸이렌이 울립니다. ③이 날 태극기는 깃폭만큼 내려답니다. ④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국군 장병과 순국선열의 넋을 위로하고 그들의 충절을 기리는 날입니다. 이런 식으로 전개하는 것이다.
동요도 도입한다. '무궁화 행진곡'(윤석중 작사. 손대업 작곡)을 들려주고 강조할 중요부분은 묵음으로 처리한다. 그 부분의 가사를 알아 맞추는 것이다. 화면엔 만개한 아름다운 무궁화가 비춰진다. '무궁 무궁 무궁화/무궁화는 우리 꽃/피고지고 또 피어 무궁화라네/너도 나도 모두 무궁화가 되어/○○○ ○○ ○○○ ○○/아름다운 이 강산 무궁화 겨레/서로 손 잡고서 앞으로 앞으로/우리들은 무궁화다' 답은 '지키자 내 땅' '빛내자 조국'이다.
노래 제목 맞추기도 있다. '아아 잊으랴 어찌 우리 이 날을/조국을 원수들이 짓밟아 오던 날을/맨 주먹 붉은 피로 원수를 막아내어/발을 굴러 땅을 치며 의분에 떤 날을~/이제야 갚으리 그 날의 원수를/쫓기는 적의 무리 쫓고 또 쫓아/원수의 하나까지 쳐서 무찔러/이제야 빛내리 이 나라 이 겨레!' 답은 6.25 노래(박두진 작사, 김동진 작곡). 언제부터인가 학교에서 의식 행사곡 지도가 사라져 계기교육의 부실을 초래하고 있다.
필자는 이밖에도 유관순, 안중근, 6.25 참전국가, 학도의용군(학도병), 김좌진, 안창호, 천안함, 연평도, 호국보훈 등도 다루었다. 보너스로는 나라사랑을 다짐하며 본인 이름, 어머니 성함 넣기도 하였다.
이 자리에 모인 대상자들은 배경지식이 높아 대부분이 정답을 쉽게 맞추었다. 정답 맞추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나라사랑의 마음을 간직하고 실천하는 것이다. 빙고 당첨자에게는 졸저 '이영관의 교육사랑'을 선물로 준다고 하니 과잉 경쟁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참가자들은 이튿날 현장견학으로 독립기념관을 방문하여 독립군 체험캠프에 참가한다. 이 같은 보훈문화교실은 8월 13일, 8월 16일에도 2박3일간 계속 운영된다. 나라사랑하는 마음을 가득 안고 귀가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국가안보보다 중요한 것이 있을까? 국가안보는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국가 이익을 지키고 나아가 국가 이익을 확장시키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국가 이익은 국가의 생존, 경제적 번영, 민주화, 평화통일, 세계 평화 기여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중 국가의 생존이 국가안보의 제일 중요한 목표다.
그러나 애국, 호국, 보훈, 순국선열, 국가정체성, 안보, 역사 등을 이야기하다보면 분위기가 딱딱해진다. 쉽게 접근하기가 어렵다. 계기교육을 하기 어려운 이유다. 국가보훈처 발행 교육자료집을 보면 지식 중심이 아니라 공감하는 교육으로,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교육으로, 생활 가까운 곳에서 배우는 교육으로 전개할 것을 지도상의 유의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오늘 게임식 강의를 진행하면서 재일학도의용군 642명을 소개하였다. 그들은 6.25 전쟁이 발발하자 조국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지키기 위해 현해탄을 건너 스스로 귀국, 각종 전투에 참가 혁혁한 공을 거두었다. 그 중 135명은 꽃다운 나이에 목숨을 잃었다. 조국이 위험에 처해 있을 때 우리는 목숨을 바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오늘 아 사건은 그 정신을 본받기 위해 게임을 통해 접근해 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