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해찬 장관 이후부터 정부와 교원단체별로 별도로 치러오던 스승의 날 행사가 올해도 제각각 치러지고, 정부가 기념식이라고 주장하는 청와대 초청 만찬도 노무현 대통령의 방미 일정과 맞물려 무산될 가능성이 많아지자, 이를 바라보는 교원들의 눈길이 곱지 않다.
더군다나 36개의 정부기념일 중 다른 관련 부처는 성대한 기념식을 치러는 반면, 교육부만 유독 스승의 날 기념식을 교원단체에 미룬 채 "청와대 초청 만찬이 기념식"이라고 주장하자 교원들은 더욱 냉소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교육부는 4월 중 '2003년 스승의 날 행사계획'을 시·도교육청에 통보했다. 이에 앞선 3월 18일 교육부는 교원단체 대표들을 초청해 '스승의 날 행사 추진 협의회를 가졌고, 이 자리에서 교총은 "정부와 교원단체가 공동으로 스승의 날 기념식을 주관하자"고 제안했다.
전교조대표가 불참한 자리에서 한교조 대표는 "좋다"는 반응을 보였고, 교육부관계자는 "검토 후 통보해 주겠다"는 답변을 하고는 교육부만의 별도 행사계획을 공문으로 내려보냈다. 교육부는 "3교원단체간의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을 공동개최 불가 이유로 내세우고 있다.
공동개최가 무산되자 교원들은 교육부의 조정 능력 부재와, 교원경시 풍조를 강하게 질타하고 있다.
한현구 전 제천교육장은 "스승의 날 공동 개최가 서승목 교장의 자살로 상징되는 교직갈등을 치유할 좋은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진선 교사(서울 은광여중)는 "3교원단체가 먼저 합의해야 공동 주관하겠다는 것은 교육부의 책임을 방기하는 것"이라며 "왜 교육부는 조정을 못하는 것이냐?"며 반문했다.
교원들은 교육부의 이런 태도가 "일반직 위주의 교육부 구성에서 기인하는 것 아니냐"며, 전문성과 교원에 대한 이해도 없으면서 정작 필요한 때는 아무런 역할도 못하는 교육부의 무용론과 해체론까지 주장하고 있다.
문삼성 교사(부산 강동초)는 "전교조 불참보다는 이를 조정할 수 있는 교육부의 태도가 더 중요한 것 아니냐"며 "일반직 위주의 교육부 관료 구성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거제의 박 모 교감은 "오죽하면 교육부를 해체하자는 소리가 나오겠냐"며 "교육부는 나서야 할 때는 항상 꼬리를 감춘다"고 비판했다.
교원들의 이런 비판은 교육부가 지난 1월 29일 2002년도 교섭에서 교총과의 공동주관을 합의해 해놓고도 지키지 않는 데서 출발한다. 이창희 교사(서울 강현중)는 "이번 기회에 교원단체교섭 관련법을 개정해서라도, 합의하고도 지키지 않는 관행을 고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총관계자는 "공동주관이 어렵다면 정부가 스승의 날 기념식이라도 주관하라고 제안했지만, 하지않고 있다"며 안타까움을 표하고는 "교총은 지난 해와 같이 대한적십자사와 공동으로 스승의 날 기념식을 치를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