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13.1℃
  • 흐림강릉 12.5℃
  • 구름많음서울 13.8℃
  • 구름많음대전 13.7℃
  • 흐림대구 13.8℃
  • 구름많음울산 13.1℃
  • 구름많음광주 14.5℃
  • 흐림부산 13.9℃
  • 흐림고창 14.6℃
  • 흐림제주 15.9℃
  • 구름많음강화 13.4℃
  • 구름많음보은 12.8℃
  • 구름많음금산 14.6℃
  • 구름많음강진군 14.7℃
  • 구름많음경주시 13.1℃
  • 구름많음거제 13.9℃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서울대 수시 확대 걱정되는 면이

서울대는 지난 11월 10일 학장회의를 열고, ‘2013학년도 대학신입생 선발안’을 의결해 발표했다. 즉 서울대는 내년도 입시부터 현행 60%인 수시 모집 비중을 80%로 늘리고 입학사정관제로 뽑기로 한 것이다. 특히 음대와 미대 등 예술대학은 학생들의 다양한 잠재력을 살펴보기 위해 수시 일반전형에서 모집 인원 100%를 선발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내년 서울대 수시에선 학교생활기록부와 자기소개서, 추천서, 고교별 소개 자료를 토대로 수험생의 학업능력과 학내외 활동, 전공에 대한 관심, 잠재력 등을 입학사정관이 종합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서울대의 수시 확대는 어느 정도 예견된 정책이기도 하다. 이미 올해 입시에서 연세대는 정원의 70%, 고려대는 69%를 뽑을 정도로 수시모집 비중이 급격히 늘고 있다. 다른 대학들도 수능점수 대신 잠재력 평가 위주로 신입생 선발의 틀을 바꾸고 있다.

이번 전형 방법을 발표하면서, 서울대 측은 “이젠 시험 잘 보는 사람보다 스티브 잡스처럼 창의력 있는 인재, 주변을 배려하고 융합할 수 있는 인재 육성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러한 전형은 점수 위주의 선발을 지양하고 잠재력 위주의 선발로 전환했다는 점에서 사회적 기대도 있다.

학교 현장에서는 이러한 취지에 공감하지만 여전히 우려하는 부분도 많다. 우선 서울대학교의 입시 정책은 급작스럽게 발표했다. 당장 내년도 바뀐다는데 수험생은 혼란스럽다. 적어도 현재 중3부터 적용해야 한다. 대학이 학생을 뽑으니까 대학 마음대로 한다는 생각은 잘못이다. 대학은 우리 사회에서 신뢰성이 있는 집단이다. 따라서 입시 정책의 변화도 합리적 대안으로 국민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더욱 서울대 입시 정책은 다른 대학에도 영향이 크게 미치니 신중해야 한다.

그리고 대학은 자주 창의력 있는 인재, 주변을 배려하고 융합할 수 있는 인재 육성을 강조했는데, 이러한 역할을 누가 해야 하는지 자문할 때이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의해 이러한 인재가 탄생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사실 이러한 유형의 인재는 대학에서 길러야 한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개념 위주의 교육과정이 될 수밖에 없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준비 단계일 뿐이다. 따라서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융합형 인재는 대학 교육을 통해서 가능하다.

아무리 창의적인 인재도 우리나라에서는 소위 일류 대학에 가면 그것으로 만족하고 만다. 학벌 체제가 엄연한 이상 고등학교의 창의적 교육은 일단 대학에 합격하기 위한 과정으로만 존재한다. 대학에서 엄격한 학사 관리와 교육을 제대로 못하면 그들의 창의성은 그것으로 끝이다.



대학의 수시 모집, 즉 입학사정관제의 객관성도 미지수다. 연구에 의하면 고교 교사 10명 중 7명이 대학 입학사정관의 학생 선발과정이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다는 보도다. 평가 기준이 모호하고, 평가가 자의적으로 진행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대학의 입학사정관의 신분이 비정규직이라는 사실도 이해가 안 된다. 실제로 대학에서 입학사정관의 업무를 보고, 불과 몇 년 지나지 않아 학원에서 입시컨설팅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입학사정관에 대한 신뢰가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턱대고 수시 전형을 확대하는 것은 불신을 더욱 가중시킨다.

현재 우리 교육에서 사교육에 대한 걱정도 대학이 풀어야 한다. 서울대는 이번 입시안을 발표하면서 사교육 차단을 위해 내년 수시에서 논술을 아예 폐지키로 했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교육은 입시 내용 때문에 기승을 부리지 않는다. 소위 일류 대학에 가기 위해서 사교육이 성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교육 시장은 논술이 들어가고, 그 자리에 과외활동 스펙 관리나 심층면접 등으로 더욱 활발히 진행될 것이다.
 
대학의 수시 전형 등은 학교의 교육 형태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기여한 측면이 있다. 또 수시 전형은 리더십 교육이나 독서ㆍ토론 교육 등 학교의 역동적인 교육을 활성화하고 있어 기대도 크다. 그러나 학교는 공부를 해야 한다. 과거에 성실히 공부하는 전통이 오늘날 우리 사회의 밑거름이 된 것을 인정해야 한다. 그렇다면 지금도 성실하게 학업에 전념하는 인재도 필요하다. 다소 소극적인 성격의 학생들은 학과 공부를 열심히 하고, 또 그들의 성향에 맞는 공부를 통해 연구 활동에 전념하는 경우도 많다.

입시 제도의 변화는 시대의 변화와 함께 바뀌는 것은 당연한 측면도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교육 활동을 평가하는데 벗어나서는 안 된다. 무리하게 시대적 흐름을 따라가다 보면 본류에서 벗어나게 된다. 수시 모집 비중을 과도하게 늘리는 것은 학교 교육을 왜곡할 우려가 있다. 건국 이후 입시가 해마다 바뀌는 것도 결국은 학교 교육의 근본적 틀에서 벗어나고 있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