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8회 신춘 가곡의 향연 관람기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공연을 보기 위해 과연 얼마 만에 이 곳에 왔는가? 기억을 더듬어보니 1970년대 후반 번스타인 지휘 뉴욕필하모니 오케스트라 내한 공연이 첫번째였다. 그러니 30여년 만이다. 그 당시 교직에 있는 누님과 함께 관람했었다. 좌석은 뒷자리였지만 문화인답게 세계적 수준의 음악을 향유하면서 감동에 젖었었다.
얼마 전 뜻 깊은 음악회를 관람하였다. 국내 정상의 성악가들이 출연하는 '제18회 신춘 가곡의 향연'. 박상현이 지휘하는 모스틀리필하모닉오케스트라가 반주다. 보통은 피아노 반주가 고작인데 이 정도면 초대형 무대인 것이다.
음악 전문카페 아트힐(Arthill) 회원으로부터 초대의 영광을 안은 것이다. 그것도 VIP석. 무려 10만원 티켓이다. 퇴근 후 회관에 도착, 동호인과 함께 저녁을 먹고 입장을 하여 정겨운 우리 가곡을 맞이하였다. 2층 앞좌석이라 전망이 좋다. 무대 전체가 한 눈에 보인다. 그러나 출연한 성악가들의 얼굴 표정은 자세히 볼 수 없는 아쉬움이 있다.
첫곡 오케스트라의 '그리운 금강산' 연주가 울려퍼진다. 특히 트럼펫 독주 소리가 현악기와 어우러져 청아하게 들린다. 언제 들어도 따라부를 수 있는 귀에 익은 곡이다. 또 아름다운 금강산의 모습을 마음속으로 그려보며 산하를 그리워하게 되는 곡이다.
전반부에 나온 성악가가 바리톤 김승현, 소프라노 박성희, 테너 박현재, 소프라노 정윤주, 테너 강무림, 소프라노 박선휘, 메조 소프라노 김학남이다. 김승현은 '아무도 모르라고'를 부르는데 반주와 혼연일체가 되어 마무리를 지으며 흡족한 미소를 짓는다. 우리 가곡의 품격이 올라간다.
전문가는 아니지만 음악을 좋아하는 입장에서 보니 성악가에 따라 또 반주에 따라 음악이 새롭게 들린다. 음악 분위기도 달라진다. 김학남의 '청산에 살리라'는 오보에와 어울리니 곡이 맛깔스럽게 살아난다. 아무래도 성악이 주(主), 반주가 받쳐주는 것이니 성악가와 지휘자가 호흡을 맞추되 성악이 전체를 이끄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다.
이번에 필자의 한국 가곡에 대한 무관심도 드러났다. 프로그램 없이 수첩에 메모를 하는데 곡명이 떠오르지 않는다. 그 동안 우리 가곡을 멀리했던 것이다. 그러니까 교사 시절 아주대학교 방송국에서 주관하는 음악회에서는 연주되는 모든 곡을 알고 있었다. 입으로 흥얼거릴 정도였다. 그러나 지금은 그게 아니다. 나중에 확인을 해 보니 '산아' '네잎 클로버' '강 건너 봄이 오듯'은 낯설어 익숙하지가 않다.
소프라노 박선휘가 부른 '강 건너 봄이 오듯'. 카페 사진을 보니 작곡자인 임긍수님도 오셨다. 인터넷 검색을 하여 몇 차례 들으니 느낌이 와서 닿는다. 서정적인 가사도 그렇고 곡도 가슴에 울림을 준다. 아내와 함께 가사를 음미하며 몇 차례 더 들었다. 작곡자가 객석에서 자기 노래를 듣는 느낌은 얼마나 감동이 벅찰까를 생각하였다.
오케스트라 구성을 살펴본다. 바이올린 18, 비올라 6, 첼로 5, 콘트라베이스 3, 호른 2, 플륫 2, 트럼펫 2, 튜바 1, 트럼본 2, 하프1. 피아노 1, 클라리넷 2, 파곳 2, 드럼(실로폰) 1, 팀파니 1 총 49명이다. 이 중 남자 연주자를 보니 10명 정도다. 남자의 전유물 같았던 트럼펫, 트럼본 등 금관악기도 여성 연주자가 하나씩 차지하고 있다.
10간 간 휴식 후 이어지는 후반부 공연. 최영섭 작곡가에게 감사패가 수여된다. 그는 60여년간 300여 곡을 작곡했으며 올해가 '그리운 금강산' 작곡 50주년이란다. '아, 그래서 연주 첫곡이 그 노래였구나!' 이제사 깨달음이 온다. 최영섭 작곡가 같은 분들이 계셨기에 주옥 같은 우리 가곡이 면면이 이어져 오는 것이리라.
소프라노 강혜정, 바리톤 변병철, 소프라노 이미선, 테너 신동호, 소프라노 김영미, 메조소프라노 백남옥, 소프라노 정은숙, 테너 박성원의 노래가 이어진다. 어떤 성악가는 발음이 분명하여 관객에게 전달이 잘 되고 노래와 손 동작이 자연스럽다. 테너 신동호는 음색이 독특하고 온 힘을 다해 노래하는 것이 인상적이다. 성악가 중에는 1946년생도 있다. 우리 나이로는 66세다. 그러나 나이는 숫자에 불과한가? 현역으로 왕성하게 활동한다.
맨 마지막 곡은 출연자 전원이 나와서 관객들과 합창을 한다. '그리운 금강산'이다. 공연의 처음과 끝, 곡명이 일치하는 것이다. 후반부에서도 귀에 익지 않은 몇 곡. 이안심의 '금빛 날개' 변훈의 '쥐' 김봉천의 '애나' 등이다. '아! 그 동안 우리 가곡에 대해 무심했구나! 그래도 총각시절엔 KBS FM 우리 가곡 프로그램을 일부러 듣곤 했는데…' 미안함과 반성이 앞선다. 그러나 이번 기회가 다시 우리 가곡에 관심을 갖고 사랑하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싶다.
VIP석 10만원, 산술적으로 계산하니 15명이 출연하여 두 곡씩 총 30곡을 불렀다. 우리 가곡 한 곡 듣는데 삼천원 정도다. 이 정도면 저렴한 가격이고 오케스트라 반주가 받쳐주는 최고 품격의 성악곡 감상에 아깝지 않은 돈이다.
공연이 끝났다. 아트힐 회원들은 헤어지기가 아쉬워 회원들, 작곡가, 출연진들과 기념 사진 촬영에 바쁘다. 집이 수원인 필자는 갈 길이 바쁘다. 전철을 이용, 집에 도착하니 자정이 가까웠다. 그래도 마음만은 뿌듯하고 가슴이 벅차다. 문화예술을 즐긴다는 것, 바로 이 맛에 하는 것인가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