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8 (금)

  • 맑음동두천 29.0℃
  • 맑음강릉 29.3℃
  • 맑음서울 30.0℃
  • 맑음대전 31.6℃
  • 맑음대구 32.9℃
  • 구름조금울산 25.1℃
  • 흐림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5.4℃
  • 구름많음고창 27.3℃
  • 흐림제주 25.8℃
  • 맑음강화 26.2℃
  • 맑음보은 30.5℃
  • 구름조금금산 29.7℃
  • 구름많음강진군 26.3℃
  • 구름많음경주시 27.9℃
  • 구름조금거제 24.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사람이 살아가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인간관계다. 다양한 개성을 가진 사람들과 옆집 아저씨나 아줌마같이 대하기 부담이 없고 편안하고 관계를 가지기란 여간 어렵지 않다. 현대처럼 각박해지는 삶에서 언제든 만나고 싶을 때 만나서 재미없는 나의 이야기를 끝까지 들어줄 수 있는 사람은 몇 명이나 될까? 그리고 나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해 줄 수 있는 진정한 친구는 얼마나 있을까? 아마도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무엇보다 내가 상대방에게 마음의 문을 열고 먼저 다가서지 못하고 상대가 다가와주기만 기다리지 않았나하는 생각이다.

일반적으로 사교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들은 인간관계가 다양하고 폭넓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인간관계는 극히 제한적이다. 인간관계가 폭넓은 사람은 그 깊이가 부족하고 인간관계가 좁은 사람은 깊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인 인간관계의 형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간관계의 단점은 보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끈끈한 정서적 교감활동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상대방과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교사와 학생의 교감활동에 대한 자세한 논의가 필요하다.

교감(交感, Sharing Sense)이란 서로 접촉하여 사상이나 감정 따위를 함께 나누어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대방과 교감하기 위해서는 ①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고, ② 상대방의 생각을 읽어야 하고, ③ 상대방의 마음을 들을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교감을 가지기 위해서는 먼저 상대방과 친밀한 유대감을 가져야 한다.

최정환은 교감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최정환, 교감의 리더십, p.5).

참된 리더는 하늘, 땅, 사람과 진정으로 교감하는 사람이다. 교감(Sharing Sense)이란 감정을 나누고(Sharing emotion), 감동을 나누고(Sharing affection), 감응을 나누고(Sharing sympathy), 감촉을 나누고(Sharing touch), 감회를 나누고(Sharing memory), 감격을 나누고(Sharing gratitude), 감흥을 나누고(Sharing inspiration), 감탄을 나누고(Sharing admiration), 감사를 나누는(sharing thanks) 것이다.

이와 같이 교감은 소통이 전제되어야 나눌 수 있는 감정의 교류활동이다. 교육은 소통활동이라고 할 정도로 교육방법에서 중요하다. 한마디로 소통 없이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다. 교사가 학생들에게 교수내용을 소통을 통하여 전달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소통이 학생들에게 얼마나 잘, 그리고 쉽게 전달되도록 교감이 이루어졌느냐가 교육의 성과로 나타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교감은 상대방의 감정을 소통을 통해 공감하고 교감함으로써 전달내용을 이해하는 교육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교육에서 교감리더십은 왜 필요한가?

첫째는 교육은 교사와 학생의 교감활동이다.
교감이라는 용어는 이미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상대방의 감정을 공감하고 서로 감정을 나누어 가지는 활동이다. 교육활동 대부분이 교사와 학생의 교감활동으로 이루어진다. 즉 교사와 학생들은 가르치고 배우는 교감활동을 통해 교수-학습이 일어난다. 따라서 교사가 교수내용을 얼마나 자세히 학생수준에서 쉽게 지도하느냐에 따라 학생이 받아들이는 학습정도가 다른 것이다. 이러한 차이가 바로 교사와 학생 사이에 일어난 교감활동이 일어난 정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교사와 학생 간의 교감활동이 얼마나 쉽고 진지하게 일어나느냐에 따라 학생의 학습 이해도가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둘째는 학생이해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감리더십이 필요하다.
최정환은 “참된 리더는 모든 능력 이전에 다른 사람의 희로애락을 진심으로 교감할 줄 아는 사람이어야 한다”며 일을 잘하는 능력 이전에 타인의 아픔과 필요에 동감하는 사람이라고 지적한다. 학교에서 가장 어려운 교육활동이 학생문제 해결일 것이다. 대부분의 학생문제는 학생들 간의 사소한 감정에서부터 심각한 감정까지 서로 얽혀져 있어 이를 풀기란 여간 어렵지 않다. 그래서 이들의 아픈 마음을 보듬고 달래주려면 잘못된 행동에 대한 이해와 설득이 필요하다. 이러한 학생이해와 설득은 먼저 문제학생의 닫힌 마음을 열개하는 것이 관건이다. 마음의 벽을 허물 수 있게 하는 것이 문제를 공감하며 교사와 교감하는 활동이다. 따라서 이들의 생각을 바꿀 수 있도록 신뢰하며, 레포(rapport)가 이루어질 때 활발한 교감활동으로 올바른 마음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것이다.

셋째는 훌륭한 교사는 학생들 간의 원활한 교감리더십을 가져야 한다.
교육은 학생들이 필요한 것은 교육적 사랑을 기반으로 교사와 이루어지는 교감활동이다. 이러한 교사의 교감활동은 학생들에게 ‘교육을 통해 성공할 수 있다’는 신뢰와 믿음을 심어줌으로써, 훌륭한 인성과 높은 지성을 갖춘 사람으로 자랄 수 있는 중요한 토대를 만들어주는 것이다. 교사와 학생간의 수평적인 대화는 친구 같은 관계가 이루어져 마음을 터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교감리더십이 가능하다. 그래서 진정한 리더는 낮은 자세로 따뜻한 마음과 기운을 전하여 전체가 행복하게 하는 사람이다. 교사의 권위를 버리고 학생의 눈높이에서 학생들을 바라볼 때 학생들과 쉽게 교감할 수 있는 것이다.

요즘 교사에겐 학생들과 마음을 터놓고 기쁨과 아픔을 편안하게 나눌 수 있는 교감리더십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질풍노도의 사춘기와 경쟁적인 학업스트레스에 힘들어 하는 학생들이 마음을 이해하고 먼저 따뜻한 손을 내미는 교사의 교감리더십이 절실한 것이다. 진정한 교육리더는 학생들의 교육을 만족할 수 있도록 어진 마음을 가져야 하며, 때론 참된 수도자 같은 교사의 품성을 소유해야 인간에 대한 따뜻한 사랑과 마음을 나누는 교감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