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6 (화)

  • 흐림동두천 7.0℃
  • 흐림강릉 10.0℃
  • 흐림서울 8.0℃
  • 대전 9.4℃
  • 대구 10.7℃
  • 울산 13.1℃
  • 흐림광주 10.7℃
  • 부산 13.8℃
  • 흐림고창 10.3℃
  • 흐림제주 13.2℃
  • 맑음강화 8.3℃
  • 흐림보은 9.6℃
  • 흐림금산 10.2℃
  • 흐림강진군 11.3℃
  • 흐림경주시 13.3℃
  • 흐림거제 13.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계층 간 이동의 꿈은 이루어져야 한다

신문을 보고 있는데 이런 기사가 보인다. ‘대학생 10명 중 8명, 개천에 용날 수 있다’ 기사를 자세히 보면, 어느 아르바이트 전문 구인구직 포털사이트에서 대학생 6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는데, 전체 응답자의 85%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개인 노력으로 성공할 수 있다’고 답했다고 한다. ‘어렵기는 해도 가능할 것’이라고 답변한 것은 56.4%, ‘개인의 노력에 따라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응답은 28.2%였다. 성공하기 위해서는 노력이 1위로 236표로 운이나 기회를 뽑은 학생 보다 1표가 더 많았다. 다음의 요건으로는 도전정신, 실력, 열정 등이 그 뒤를 이었다고 한다.

우선 우리나라를 이끌어갈 차세대 주자인 대학생들의 바람직한 정신관에 대해서 칭찬을 하고 싶다. 88만원 세대(비정규직으로서 월급에서 세액을 공제하면 월 88만원을 받는다는 말), 니트족(일하거나 취직하려는 의지가 없는 젊은이), 이태백(이십대 태반이 백수)이니 하는 말로 젊은 세대들의 암울한 처지를 나타내는 말이 횡행하는 이때지만, 그래도 희망을 갖고 자기의 삶을 개척하려는 의지가 엿보이기에 하는 말이다.

필자는 젊은이들에게 있어서 현재의 절망적인 분위기는 개인의 무능이나 학력을 뛰어넘어서 사회구조적인 문제에서 기인한다고 보고 있다. 이를 증명하는 사례가 몇 있는데 이를테면, 1970~2003년까지 서울대 사회대생 1만여 명을 조사해 봤는데, 2003년의 경우에는 전문직, 관리직으로 구성된 고소득 직군 자녀들의 입학률이 저소득 직군 자녀보다 무려 16배 높았다고 한다.

김민성 성균관대 교수의 ‘고등학교 내신 성적에 대한 사교육비 지출효과’ 논문에 따르면 한 달에 사교육비로 평균 50만원을 지출하는 고등학생이 내신 성적 3등급 이상에 속할 확률은 사교육을 전혀 받지 않았을 경우보다 2배 이상 높다는 결과도 있다. 다음으로 권영길 통합진보당 의원의 2011년 조사 자료를 보면, 부모의 소득 수준에 따라 자녀들의 장례희망도 바뀐다는 결과도 있다. 고소득층 자녀와 특목고 학생일수록 고소득 전문직을, 저소득층이면서 특성화고(전문계고)에 다니면 저소득층 직업군을 희망한다는 것이다. 환경이 그들의 삶을 규정한다는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의 포털사이트 조사처럼 대학생들이 이루기 힘들지만 바늘구멍만한 성공의 길을 찾는 희망을 갖고 있기에 반가움 반 안타까움 반이 든다. 반가움이야 그렇다 쳐도 안타까움을 느끼는 것은 성공의 희망을 가졌으나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젊은이에게 돌아갈 절망의 크기 또한 클 것이기 때문이다. 그것도 개인적인 능력 보다는 구조적 모순에 의해서 생겼다면 말이다.

따라서 젊은이들의 희망을 이루게 하려면 구조적인 계층 간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사회구조적인 문제점 해결이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가장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은 학벌철폐가 아닌가 한다. 서울대를 정점으로 하는 수능점수를 통한 줄 세우기가 우리나라 교육의 가장 큰 문제라고 본다. 대학을 점수를 통한 서열화가 아닌 기능을 중심으로 대학이 재편되어야 하겠다. 국립대의 경우는 사립대가 운영하기 힘든 기초학문이나 연구중심의 학과로, 대학원 위주의 운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나머지는 사립대에 맡겨서 학교 설립 이념에 맞는 대학 운영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학벌철폐는 워낙 견고하고, 학벌의 혜택을 입는 이들이 사회의 주류를 대부분 차지하고 있기에 기득권을 절대 놓지 않을 것이므로 혁명적 결단이나 국민들의 지지가 없다면 이루기 어려운 문제임에는 틀림없다. 하지만 현실이 어렵다고 해서 분명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는 사회구조적인 병폐를 방치할 수는 없다. 내 자식에게 살인적인 입시경쟁과 승자독식의 살벌한 세상에 더 이상 내보낼 수 없기에 말이다. 지속적으로 문제점을 제기하고 중지를 모아서 해결해야 할 문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