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덕 교사(인천산곡남초등교)의 일기장은 남다른 것이 있다. 하루를 마치면 국내외 소식에다 생각·느낌·다짐까지 곁들여 쓰기 시작한 일기가 어느새 50년이 되다보니 담긴 내용이 현대 교육의 역사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홍 교사의 일기장에는 대학까지의 학창 시절은 물론 43년(야학 5년 포함)의 교단 생활 하루하루가 기록돼 있어, 그것만으로도 현대 교육의 흐름을 한눈에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빛 바랜 일기장에서 우리 교육 반세기를 더듬을 수 있는 셈이다.
일기장에 따르면 1960년대에는, 4·19의 영향인 듯 농촌 계몽 학생 활동이 활발했고 말쯤에는 국민교육 헌장이 선포된다. 1970년대 벽두부터 전국이 슬픔에 잠긴다. 한 중학교 수학여행단 버스가 건널목에서 열차와 충돌해 44명의 어린 학생들이 유명을 달리했다. 새마을 운동이 불붙으면서,
학교도 예외는 아니었다. 새마을 수련 대회, 상설 새마을 교실 운영 등으로 지역과 함께 하는 노력 봉사 활동이 줄을 이었다. 보너스에 정근 수당이 포함돼 10만 원대 봉급 시대를 연다. 한편, 자유 학습의 날, 주임교사제와 교과전담제가 차례대로 도입된다.
1980년대에 특기할만한 교단 뉴스로는 학위 취득 붐이다. 초등 교원의 학력을 '학사'로 치켜올리려는 정책에, 방송통신대를 비롯한 교대 계절제와 야간대 편입학이 한창이었다. 말기에는 '교원 노조'로 견해가 분분했다. 1990년대 초부터는 '컴퓨터'가 교육 현장에 출현해 연수 출장이 잦았다. 중반에는 55년 묵은 '국민학교' 간판을 내리고 '초등학교'로 갈아 달면서 새로운 출발을 다짐하나, 느닷없는 정년 단축이 주요 이슈가 된다. '명퇴' 바람이 거세게 몰아치면서, 중견 교사들이 정든 교단을 떠난다.
2000년대에 들어 서면서는, 교육 실정 규탄과 교원 자존심 회복의 함성이 여의도에 메아리친다. '기간제 교사'가 교단에 선다. 성과 상여금, 황사 휴교, NEIS(전국단위교육행정정보시스템) 유보, 축구부 화재 참사에 학교장 자살 사건도 일기장에 담겨져 있다.
내년 2월이면 정년이라는 홍 교사는 "전쟁이 끝나면서 모두가 어려운 시절에 담임 선생님이 희망만은 잃지 말자며 권해 시작한 것이 50년이 됐고 지금 생각하니 너무나도 귀한 과제였다"며 "학교를 떠나더라도 계속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