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평균수명 100세를 맞고 있다. 평균 수명 100세를 위해 준비할 것이 많다. 건강 수명을 위해 운동 식생활에도 신경 써야겠지만 건강 수명을 위한 재정적인 준비 또한 중요하다. 재정적인 준비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직업을 갖는 일이며 안정적인 경제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직업에 필요한 능력을 갖추는 일 또한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인생 이모작이라는 말이 의미하듯이 평생 한 가지 직업을 가지는 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이미 시작 되었다.
한 가지 직업으로 평생을 사는 운 좋은 사람보다는 평생 적게는 2개 많게는 3-4개의 직업을 가져야 하는 사람이 많아진 시대가 온 것이다. 일생동안 3-4개의 직업을 새로이 가질 때마다 그 직업에 필요한 능력을 갖기 위해 그 때마다 대학을 다니거나 학원을 찾아다닐 수 있는 경제적 여유를 가진 자도 있을 테지만 더 많은 사람들은 스스로 학습의 방법을 찾아야만 한다. 그 때 필요한 것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이다. 자기주도 학습이란 학습에 있어서 목표의 설정, 학습 수단의 선택, 학습 그리고 학습 결과의 평가 등 전 과정을 학습자 본인이 주도하는 학습이다. 스스로 자신의 능력의 현재를 진단하고 스스로 필요한 자료를 찾아 연구하고 공부하는 과정이 학문의 길이기에 그러한 능력을 가진 자는 스스로 자신의 길을 찾는 과정에서 위대한 스승을 만날 것이고 그 스승을 통해 더 나은 지식을 얻을 것이며 그 지식을 통해 그 사람은 그 분야에서 성공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을 기르기 위해 가장 비중있게 공교육에서 해결해야 할 첫 과제가 독서교육이다 그것도 결과중심의 독서교육이 아니라 독서의 과정을 자세하게 안내하는 독서교육이 필요하다. 책을 이해하는 방법을, 교사가 공부를 하는 방법을 스텝 바이 스텝으로 제시하여 아이들이 혼자서도 책을 잘 이해하며 읽어가는 능력을 갖도록 해야 한다. 바로 모든 지식과 경험의 창고가 책이기 때문이다. 더 이상은 학교의 독서교육이 독후감 시상이나 독후화 그리기 다독왕을 시상하는 것이어서는 안 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또한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기르는 것이 모든 단위 학습 시간의 학습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엄마가 교사가 삶의 순간순간 늘 함께하며 그들의 선택을 도와줄 수 없고 인생의 선택이 오롯이 인생을 사는 내 학생의 자신의 몫일 때 그 순간에 빛나는 영향을 발휘할 것이 바로 자기주도 학습능력이기 때문이다.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가진 자는 늘 언제나 자신의 길을 스스로 개척해갈 수 있다. 그렇게 스스로 자신의 길을 개척하는 자를 길러내는 것이 교육이 그리고 학교가 해야 할 일이다. 때문에 완성된 수업자료를 찾아서 그리고 수업 자료를 직접 교사가 만들어 보여주어 학습장의 이해를 돕는 방법도 좋겠지만 완성된 수업 자료의 제시보다는 아이들이 스스로 책속의 지식을 이해하기 위해 어떤 자료가 필요할까 어떤 자료를 찾아야할까 고민 하게 하는 것이 더 좋은 수업일 수 있다.